시민연 ‘文정부 일자리 보고서’…“소주성 정책으로 연경제성장률 0.54%p 하락"
  • ▲ 시장경제와민주주의연구소는 25일 '일자리 정부? 일자리 파괴 정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 시장경제와민주주의연구소는 25일 '일자리 정부? 일자리 파괴 정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문재인 정부가 결과변수인 일자리를 정책 목표로 앞세우다 모든 경제정책이 꼬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청와대
    시장경제와민주주의연구소(시민연)는 25일 ‘일자리 정부? 일자리 파괴 정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문재인 정부를 향해 “노동투입이 줄고 설비투자가 감소해 경제는 저성장 내지 마이너스 성장을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기성 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이 보고서에서 “지난 9월 현재 기준 2년 전과 비교해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취업자는 16만8000명, 고용률은 1.2%p 하락했다”며 “같은 기간 총노동투입량이 연 24억1000시간(4.0%) 감소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취업자 16만8000명 감소

    박 교수는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 “주 9시간 일한 근로자와 주36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가 똑같이 1명으로 취급돼 고용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며 “주 9시간 일한 근로자는 주 36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의 0.25로, 주 27시간 일한 자를 주 36시간 이상 일한 자의 0.75로 간주해 추정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 9월 현재 2년 전 대비 주 1~17시간 일한 근로자는 53만5000명이, 주 18~35시간 일한 근로자는 64만2000명 증가한 반면 주 36시간 일한 근로자는 85만 명이 감소했다”며 “단기간 근로자 증가로 고용의 질이 저하됐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반면 “2019년 2분기 ~ 2019년 2분기 소득격차는 더욱 확대됐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실질처분가능소득(사회보장부담금, 이자비용,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지출할 수 있는 부분)이 이 기간 1분위 12.6% 감소, 2분위 3.3% 감소, 3분위 0.8% 증가, 4분위 1.8% 증가, 5분위 7.1% 증가했다”고 전했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5분위배율(소득 하위 20% 대비 상위 20%의 비율)이 5.30으로 역대 최고로, 2017년 2분기의 4.73보다 0.57 증가한 것이다.

    현 정부의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최저임금은 2017년 시간당 6470원에서 2019년 8350원으로 29.1% 급상승했다. 박 교수는 최저임금제가 실시되는 15개 OECD 국가에 대한 추정을 근거 삼아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연경제성장률이 0.54%p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일자리 목표 앞세우다 경제정책 꼬인 것”

    그는 “호봉제가 주가 되는 한국의 임금체계에서 최하층의 최저임금 인상은 상위층 임금의 연쇄적 인상을 야기할 것”이라며 “정부는 저소득 취약계층을 도와주기 위해 최저임금을 올리지만 생색은 정부가 내고 그 부담은 영세소상공인이 지게 되는 무책임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박 교수는 현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0) 정책’에 대한 부정적 의견도 밝혔다. 박 교수에 따르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정책’으로 파견·용역근로자 1인당 연 2092만원의 노동비용이 상승하고, 기간제근로자 1인당 연 1245만원의 노동비용이 상승한다. 이로 인해 노동비용은 연 8조4000억원(파견·용역근로자 연4조5000억원, 기간제근로자 연3조9000억원)이 오르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노동수요는 파생수요로, 기업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종업원을 고용하므로 제품시장 상황에 따라 기업의 노동수요가 결정된다”며 “경제가 잘 돌아가면 일자리는 그 과장에서 적절하게 만들어지므로 일자리는 제품시장이 활발해지는 만큼 늘어나는 결과변수”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의 모든 경제정책이 꼬이기 시작한 것은 결과변수인 일자리를 정책목표로 앞세웠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