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싫다는데, 원유철 "변혁과 통합" 주장… 국민공천 제안도 변혁에 거부당해
  • ▲ 유승민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 대표
    ▲ 유승민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 대표

    “보수 통합의 원칙도, 전략도 안 보인다. 유승민 몸값만 올려주는 것 아닌가?”

    자유한국당 내부에서 터져나오는 비판이다. 통합 선언만 있었지, 각론이 없다는 불만이다. 통합 대상인 유승민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 대표는 ‘신당 창당’ 카드를 꺼내들며 보수 통합을 사실상 주도하는 형국이 됐다. 실속 없는 일방적 ‘구애’로 유 대표의 잇속만 챙겨주는 것 아니냐는 불만이 나온다. 

    ‘보수 통합' 아니라 ‘야권 통합'? 원칙 없이 뭉치고 보자?

    '변혁'의 신당추진기획단장을 맡은 권은희 바른미래당 의원은 지난 10일 “한국당은 보수 재건의 길에 적합한 통합의 파트너가 아니다”라며 “자유한국당과 통합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한국당 보수대통합추진기획단(가칭) 단장에 내정된 원유철 의원은 12일자 조선일보와 인터뷰에서 “모든 일에는 순서가 있고, 일단은 '변혁'과 합해서 시너지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 요청”이라며 유 의원 측과 통합을 거듭 강조했다. 

    원 의원은 통합의 외연에 대해서는 “보수 대통합보다는 야권 대통합이라는 더 큰 개념으로 접근했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개인적 의견”이라는 단서를 달긴 했지만 한국당이 보수의 이념적 구심점임을 스스로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그 와중에 유 의원은 통합 논의에서 한 발 물러선 모양새로 ‘몸값 올리기’에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김무성 한국당 의원은 12일 통합 동력의 핵심 중 하나인 공천제도와 관해련 ‘국민경선제’ 화두를 다시 꺼내들었다. 김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열린 토론, 미래’ 토론회에서 “누구나 공천을 신청해 당원투표가 아닌 국민경선제로 하면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변혁' 측은 이날 국민경선 공천에 대해서도 부정적 견해를 냈다. "유승민 대표가 최근 국민경선 공천을 통합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는 보도에 대해 '변혁' 소속인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전혀 사실이 아니며, '변혁' 측에서는 논의가 진행된 바 없다”고 부인한 것이다. 한국당이 마땅한 통합전략도 없이 언론을 통해 군불만 땐다는 비판이 나왔다. 

    아쉬운 당원들 “통합 원칙만은 흔들려선 안 돼”

    한국당 저변에서는 통합의 ‘당위’만 강조할 뿐 실질적 진척을 보이지 못하는 당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흘러 나온다. 내년 총선 승리를 위해 보수 통합이 필수적이란 사실을 현장에서 체감하기 때문이다. 당 지도부의 원칙 부재, 전략 부재에 대한 불안과 불만이 감지된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 지역구의 한국당 당협위원장은 12일 통화에서 “적어도 수도권에서는 보수 통합의 대원칙만큼은 흔들려선 안 된다는 여론이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추진 과정에서 일부 잡음이 있겠지만 정 안 되면 비례대표 의석 배분 등으로도 합의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보수 통합의 외연은 어느 선이 적정한가’라는 질문에 그는 “한국당이 중심에 서되, 문재인 정부의 정책노선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과 통합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