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중구, 정부는 191㎍/㎥ KT는 936㎍/㎥… 정부 측정기 '실제 먼지' 반영 못해
  • ▲ 고농도 미세먼지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5일 오전 국회 인근에서 경찰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이종현 기자
    ▲ 고농도 미세먼지로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5일 오전 국회 인근에서 경찰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이종현 기자

    미세먼지광풍이 6일째 전국을 휩쓸고 있다. 수도권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연일 151㎍/㎥을 크게 웃돌았다. 6일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가 발표에 따르면, 오전 11시 기준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85㎍/㎥까지 치솟았다. 초미세먼지 농도 역시 연일 76㎍/㎥를 훌쩍 뛰어넘는다.


    미세먼지 농도 151㎍/㎥과 초미세먼지 농도 76㎍/㎥은 환경부가 정한 ‘매우 나쁨’의 기준이다. 최근 며칠 새 한국의 대기환경이 국민 건강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수준까지 악화됐음을 의미하는 통계다. 정부는 6일 연속 미세먼지 저감조치를 시행 중이지만, 체감효과는 ‘제로’다.


    초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매우 나쁨’의 기준 자체가 의미 없는 지경이다. 지난 5일 서울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44㎍/㎥이다. 이날 순간 최고치는 150㎍/㎥에 육박했다. 초미세먼지 농도 '매우 나쁨(76㎍/㎥ 이상)'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서울의 하루평균 초미세먼지 농도 최고치는 지난 1월14일 기록한 129㎍/㎥였다.


    이날 새벽 서울에는 초미세먼지경보가 발령됐다. 초미세먼지경보는 초미세먼지 150㎍/㎥ 이상의 평균농도가 2시간 넘게 지속될 때 발령된다. 서울시교육청은 각급 학교에 실외수업을 자제할 것과 학사일정 조정 검토를 지시하기도 했다.


    미세먼지도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5일 오후에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84㎍/㎥, 인천은 164㎍/㎥, 경기는 189㎍/㎥를 기록했다(오후 4시 기준). 서울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5일에 이어 6일에도 '매우나쁨(151㎍/㎥ 이상)' 기준을 크게 상회했다.


    환경부가 제공하는 미세먼지 기준은 △좋음 0~30㎍/㎥ △보통 31~80㎍/㎥ △나쁨 81~150㎍/㎥ △매우 나쁨 151㎍/㎥~ 이며, 초미세먼지 기준은 △좋음 0~15㎍/㎥ △보통 16~35㎍/㎥ △나쁨 36~75㎍/㎥ △매우나쁨 75㎍/㎥~ 이다.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는 당일 초미세먼지 평균농도가 50㎍/㎥를 초과하고, 그 다음날도 50㎍/㎥를 넘길 것으로 예측될 때 발령된다. 다음날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에 근접한 75㎍/㎥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 역시 발령된다.


    KT 앱 측정치, 한국환경공단 보다 5배 높아


    더욱 큰 문제는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 제공하는 미세먼지/초미세먼지 농도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공개되는 미세먼지/초미세먼지 농도는 심각한 수준이지만, 실제상황은 그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월 KT가 출시한  '에어맵코리아'란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미세먼지 측정 앱이다. 이 앱으로 지난 5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미세먼지 농도를 알아봤다. 936㎍/㎥란 수치가 확인됐다. 반면 같은 시간, 같은 지역 기준, 환경공단 에어코리아의 미세먼지 농도는 191㎍/㎥였다. 정부 측 측정치가  민간이 제공하는 수치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날 오후 5시 기준 에어맵코리아는 307㎍/㎥, 에어코리아는 174㎍/㎥으로 좁혀졌지만 여전히 엄청난 차이다. 이런 차이는 왜 발생할까.


    KT 관계자는 "많은 데이터와 개별 측정소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대형 측정기를 사용하는 에어코리아와 달리 소형 측정기를 공중전화박스나 전봇대 등에 설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환경공단 측정기를 시민들이 실제로 돌아다니는 거리에 설치하기는 어렵다는 얘기다.


    환경공단 측정기의 경우 또 지상 아닌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공단 측정기의 경우 설치되는 위치도, 높이도  시민들이 실제 흡입하는 대기의 질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KT 등 민간이 도로변에 설치한 측정기도 ‘왜곡’으로부터 자유롭진 못하다. KT 관계자는 “측정소 밑에서 흡연을 한다거나, 주·정차가 계속되면 미세먼지 농도가 치솟는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한 에너지 전문가는 "미세먼지 농도는 높낮이에 따라 많이 다르기 때문에 계측위치는 물론 계측기간, 계측기 등 다양한 요인이 섞여 있을 것"이라며 "외부요인이 많기 때문에 수치가 정확히 맞아 떨어지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간 측정치가 환경공단 측정치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