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文, 2년차 지지율 45%… 박근혜에 3%p 뒤져

한국갤럽, 文 부정평가 46% > 긍정평가 45%… 'MB 2년차'와 비교해도 비슷하거나 낮아

입력 2018-12-21 12:38 수정 2018-12-21 17:07

▲ 문재인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 ⓒ뉴데일리 DB

문재인 정부 집권 2년차 지지율이 박근혜 정부 2년차 지지율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21일 공개된 여론조사 결과 확인됐다. 같은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 국정에 대한 부정평가가 처음으로 긍정평가를 앞질렀다. 

한국갤럽이 2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12월 3주차 문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45%로, 지난주와 동일한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정평가는 46%로, 처음으로 긍정률을 1%p 역전했다. 8%는 의견을 유보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율을 동일 시점(취임 85주차)에서 해당 조사기관의 결과로 비교했을 때, 현재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3%p 뒤처진다. 갤럽이 2014년 발표한 10월 1~2주차 박 대통령 지지율은 48%였다.

40% 후반대라는 수치는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뒤 6개월간 이어진 박 전 대통령의 지지율이다. 문 대통령은 취임 초기부터 1년간 꾸준히 70~80%대의 지지율을 유지하다, 이달 초부터 40% 후반대까지 진입하는 하락세를 보였다.

文 부정평가, 긍정평가 첫 추월 '데드 크로스'

이날 갤럽에서 발표된 문 대통령 부정평가 46%는 취임 후 최고치다. 부정평가 또한 현재 문 대통령이 집권 2년차 박 전 대통령보다 4%p 높다. 취임 85주차 박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는 긍정평가보다 6%p 낮은 42%다.

문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평가 이유로는 △북한과 관계 개선(27%), △최선을 다함'(10%), △외교 잘함(9%) 등이 거론됐다. 반면 부정평가 응답자는 △경제·민생문제 해결 부족(47%), △대북 관계·친북 성향(17%) 등을 이유로 꼽았다.

집권 2년차 박 전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평가 이유는 △외교·국제 관계(19%) △열심히 한다·노력한다(16%) △주관·소신 있음/여론에 끌려가지 않음(15%) △안정적인 국정 운영(7%) 등이 꼽혔다. 부정평가한 이유로는 △소통 미흡(17%)과 △세월호 참사 관련 수습 미흡(11%)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10%) △공약 실천 미흡·변경(10%) △경제 정책(8%) △복지·서민 정책 미흡(7%) 등이 지적됐다.

집권 여당 지지율도, 이전 정부에 뒤떨어져

정권 2년차 집권 여당의 지지율도 현 정부는 이전 정부만 못하다. 갤럽이 이날 발표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지난주 36%보다 3%p 오른 39%를 기록했다. 2014년 10월 1~2주차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44%였다. 5%p 차이다.

다만 제1야당 지지율을 놓고 보면 이전 정부 때가 높았다. 현재 조사에서 자유한국당은 18%, 정의당 12%, 바른미래당 5% 순으로 나타났고, 박근혜 정부 때는 새정치민주연합 22%, 통합진보당 3%, 정의당 4% 순이었다.

MB보다도 낮거나 비슷해진 文 지지율

문재인 대통령이 이달 3주 연속 보인 40% 중·후반대 지지율은, 박 전 대통령과 함께 '적폐청산' 수사로 구속된 이명박 전 대통령 집권 2년차 지지율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2009년 10월 2주차 이명박 전 대통령 지지율을 조사 기관별로 보면 △'리서치 앤 리서치' 54.3%,(10월12일), △'한길리서치' 46.1%(10월13일), △'리얼미터' 43.9%(10월14일)였다. 갤럽은 이 기간 조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리얼미터가 당시 조사한 여당 지지율은 한나라당 37.1%로, 현재 민주당 지지율(39%)과의 차이는 1.9%p에 불과하다.

이 같은 역대 대통령 집권 2년차 지지율 하락 조짐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는 냉정하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 원장은 이날 오전 C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인터뷰에서 "집권 2년차엔 대통령의 자신감·대중들의 욕구·야당들의 반대가 극대화되면서 권력 전체에 소용돌이가 치게 된다"며 "집권 2년차 징크스를 상당히 슬기롭게 넘어가지 않으면 집권 3년차부터는 상당히 지속된 하락세가 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 지지도는 단순히 대통령 지지도가 아니라 국정 전반에 대한 지지도이기 때문에, 흔들리면 국정 전반의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며 "그런데 청와대가 '레임덕은 아니다', (특별감찰관 논란이) '문제없다'고 계속 일시적·봉합적으로 갈 경우에는 눈덩이처럼 사태가 더 커질 수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갤럽의 이번 조사는 지난 18∼20일 전국 성인남녀 1002명이 응답한 가운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홈페이지 혹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