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현대경제硏 경제성장률 햐향 조정…내년 더 어렵다

현대경제硏 '2019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서 "경제 성장률 2018년 2.6%, 2019년 2.5%"

입력 2018-12-16 12:58 수정 2018-12-16 13:25

▲ ⓒ현대경제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와 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을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국내 내수경기 위축의 심화와 세계경제 둔화의 가속화가 하향 조정의 이유다.

연구원은 16일 ‘2019년 한국 경제 수정 전망’ 보고서를 발간하고, 한국경제의 2018년 성장률 전망을 2.6%, 2019년 2.5%로 각각 제시했다. 지난 10월에 제시한 전망치(올해 2.8%, 내년 2.6%)에서 또 하향 조정된 것으로 주요 연구기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연구원이 성장률 전망을 낮춘 것은 세계 경제 둔화, 내수 경기 하방 리스크 등 경제 성장세를 제약하는 요인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원은 민간소비 증가율이 올해 2.7%로 작년 2.6%보다는 약간 높아졌지만 내년에는 2.4%로 소폭 낮아질 것으로 봤다. 연구원은 “위축된 노동시장, 소비심리 악화, 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 확대, 자산 가격 하락이 소비증가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건설투자는 올해 -2.4%에서 내년 -2.9%로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도 세계 경기·수출 경기 둔화, 반도체산업 투자 축소, 금리 상승에 따른 자금 조달 여건 악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0.6%에서 내년 0.4%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 두 자릿수 증가한 수출 증가율도 2019년에는 3.7%로 떨어질 것으로 봤다. 세계 경기 둔화, 중국의 기업부문 채무불이행 가능성 증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우려, 반도체 시장 성장세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더욱 빡빡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1.6%에서 내년 1.7%로 소폭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실업률은 2017년 3.7%에서 소폭 상승해 올해와 내년에는 3.8%로 예상됐다. 올해 신규 취업자는 9만 5000명으로 크게 꺾인 뒤 내년에는 반등하겠으나 12만 5000명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한국 경제의 성장세 유지를 위해서 단기적으로는 투자 활력 제고, 중장기적으로는 경제 체질 개선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2.9%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2.7%, 국제통화기금(IMF)은 2.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은 2.7%로 예상했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 9곳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2.7%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총수일가 3.6% 지분으로 기업집단 지배… 해외계열사·공익법인 통한 우회지배도 여전

총수일가 3.6% 지분으로 기업집단 지배… 해외계열사·공익법인 통한 우회지배도 여전

공정위, 8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주식소유 현황 발표
계열회사 보유 내부지분율 54.7%로 기업집단 전체 지배하는 구조
총수일가 지분율 낮은 기업 두나무>HD현대>카카오順
롯데·장금상선, 국외계열사로 국내계열사 우회·편법 지배
사익편취 규제대상 72개 집단·900개 계열사로 7.8% 증가
공정위 "긍정 평가 어렵지만, 승계과정서 자금동원력에 한계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