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2분기 경제성장률 0.6%로 '뚝'… 경기침체 본격화

실질국민총소득 1.0% 감소… 서비스업 증가율은 석달 만에 '반토막'

입력 2018-09-04 16:29 수정 2018-09-04 17:04

올해 2분기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이 0.6%에 그쳤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지난 7월 발표한 속보치보다 0.1%p 낮아지며 경기 하강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7조9천595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 대비 0.6% 밖에 증가하지 못했다.

성장률이 0%로 떨어진 이유는 급속도로 쪼그라든 투자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건설투자는 주거용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줄어 2.1% 감소했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축소 등의 여파로 주거용 건물건설, 토목건설까지 모두 줄어든 것이다. 

설비투자 부문에서도 기계류와 운송장비 감소로 인해 전분기 대비 5.7% 감소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2016년 1분기(-7.1%) 이후 9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민간 소비는 1분기 성장률(0.7%)보다 낮은 0.3% 성장에 그쳤다. 지난 2016년 4분기(0.3%) 이후 6분기 만에 최저치를 나타낸 것이다. 

'경제 동력' 수출도 0.4% 감소

경제 성장을 떠받치는 수출도 0.4% 감소했다. 기계류 및 운송장비의 수입이 줄고 거주자의 해외 소비가 감소한 데 따라 수입 증가율도 2011년 3분기 이래 최저다.

서비스업 증가율은 1분기 1.1%에서 2분기 0.5%로 반토막 났다. 부동산 개발·공급이 감소하면서 부동산 및 임대업이 -0.7%로 뒷걸음질 친 탓이 컸다.

이밖에도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 분기보다 1.0% 감소했다. GNI는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동안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소득 등을 모두 합친 수치다. GNI는 지난해 4분기의 -1.2%에서, 올 1분기 1.3%로 올라갔다가 6개월 만에 다시 낮아진 것이다. 총저축률은 34.6%로 전기 대비 0.3%p 낮아졌다. 국내총투자율도 전분기보다 0.4%p 내려간 31%를 기록했다.

반면 성장세를 보인 업종도 있었다. 금융·보험업,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은 0.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0.6% 성장률을 나타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