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위원회 등 文 공약에 "安 따라하기 그만해야… 이해도도 부족해"
  • ▲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자료사진)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자료사진)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4차 산업혁명 전도사를 자임하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가 3일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4차 산업혁명 구상에 대해 "70년대 박정희식 패러다임"이라고 비판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회 미래일자리와 교육포럼이 개최한 제4차 산업혁명시대 토론회에서 축사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은 정부 주도로 해서는 안 된다.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박근혜 정부에서 정부가 주도해서 아무런 별다른 성과가 없었던 것처럼 새로운 걸 창조하고 만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율성"이라며 "모든 걸 정부가 주도하다 보면 오히려 자율성을 뺏기고 아무런 새로운 시도도 생기지 않는 법"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일 문재인 전 대표는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신설, 중소기업청을 중소벤처기업부로 확대·신설, 과학기술정책 총괄 국가 컨트롤타워 재구축 등 정부 주도형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구상을 밝힌 바 있다. 

    당시 대구를 방문 중이던 안철수 전 대표는 이에 대해 "다른 나라에서 어떻게 4차 혁명이 잘 진행되는지 거기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가 부족한 것 같다"고 평가절하 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이날 축사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정부에서 위원회를 만든다는 것이야말로 예전 70년대 박정희식 패러다임의 발상"이라며 "지금 창조경제가 그래서 실적이 없는 것"이라고 문재인 전 대표와 현 정부를 싸잡아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가가 주도해서 만들고 끌고 가서 자율성을 뺏고 새로운 것을 만들 수 없다. 민간에 그 일을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이날 문재인 전 대표가 4차 산업혁명 관련, 스타트업 기업에 공공인프라를 제공하는 세운상가 '팹랩(FabLab)'을 방문한 것에 대해서는 "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가진 분이 많은 것은 좋은 일이다. 앞으로 정책적으로 협조를 얻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공부하셔야죠"라고 말하기도 했다.

    안철수 전 대표가 다소 여유있는 모습을 보인 반면 국민의당은 문재인 전 대표를 향해 '안철수 따라하기 행보'가 도를 넘었다고 비판했다.

    김경록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문재인 전 대표는 개헌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놓다가 안철수 전 대표가 '2018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에 붙이자'는 구체적인 실현 계획을 내놓아 호평을 받자 슬그머니 똑같은 주장을 따라했다"라며 "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탄핵 요구도 안철수 대표가 먼저 나서서 정치권 흐름을 이끌면 어느 새인가 문재인 전 대표도 비슷한 말을 하며 뒤를 쫓았다"고 주장했다.

    김경록 대변인은 "문재인 전 대표가 내놓은 4차 산업혁명 선도전략은 한마디로 관치경제시대의 정부 주도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낡은 방식"이라며 "남의 뒤꽁무니만 쫓는 대통령 후보에게 미래를 맡길 국민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표는 본인에게 붙여진 '안철수 따라쟁이'라는 별명을 가볍게 넘기지 말고, 모방을 넘어 스스로 사고하고 창조하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했다.

    고연호 대변인도 논평으로 문재인 전 대표의 4차 산업혁명 구상에 대해 "여전히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고연호 대변인은 "우리당 안철수 전 대표의 행보를 뒤따른 문재인 전 대표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발표와 방문일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문재인 전 대표의 '전기자동차 산업강국', '신재생에너지 시대' 등 2~3차 산업혁명시기의 정책을 4차 산업혁명의 과제로 나열하고 있어서 여전히 부족한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대한민국은 4차 산업혁명을 전력으로 준비해야한다"면서 문재인 전 대표에게 안철수 전 대표와의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한편 안철수 전 대표는 문재인 전 대표의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제안에 대해 "최소한 20~30조원 이상 세금이 매년 소요된다"며 "그 재원을 어디에서 조달할 것인가. 81만개 공공일자리를 만든다는 주장은 그에 맞게 증세하자는 주장이다. 그런 접근방법 자체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