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로 가면 원내 과반(過半) 140석 무너질 수밖에 없어" 위기감 고조
  • ▲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김무성 대표와 윤상현 의원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김무성 대표와 윤상현 의원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친박(親朴) 핵심인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의 욕설 파문을 두고 청와대가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겉으로는 윤상현 의원과 거리두기에 나선 모습이지만, 청와대 안팎에선 부글부글 끓는 기류가 감지된다.

    윤상현 의원의 욕설 파문 직후인 9일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입장을) 언급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당내 계파 갈등과 무관하다는 것이다. 공천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 갈등에 얽혀들어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당혹스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내면서 줄곧 청와대의 목소리를 대변해온 윤상현 의원의 위치 탓이다.

    심지어 다음날인 10일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과 이한구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윤상현 의원의 욕설 파문과 관련해 서울의 한 호텔에서 극비 회동을 가졌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의혹을 단칼에 부인한 청와대지만 이후 내부에선 "윤상현 의원이 책임을 지고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거친 반응이 터져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계도 윤상현 의원에게 등을 돌리고 있다.

    내부에서는 윤상현 의원의 거취를 조기에 정리하고 선거에 매진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의견이 나오고 있다. "윤상현 의원 때문에 선거가 크게 불리해졌다"는 반응이 곳곳에서 감지되는 것.

    특히 야권 후보들과 오차범위 내 접전을 펼쳐야 하는 수도권 친박 후보를 중심으로 읍참마속(泣斬馬謖)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봇물을 이루는 실정이다.

    지난 19대 총선에서는 수도권 전체 지역구 112곳 중 1~2위 사이의 득표율 차가 5%p 미만인 곳이 31곳에 달했다. 이 가운데 9곳은 1,000표 미만으로 당락이 결정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수도권에 출마한 새누리당 후보들은 윤상현 의원의 욕설 파문이 장기화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모습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이성헌 전 의원이 욕설 파문을 일으킨 윤상현 의원의 자진 탈당을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 ▲ 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이성헌 전 의원.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는 이성헌 전 의원.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서울 서대문갑 지역구에 출마한 이성헌 전 의원은 지난 11일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이게 단순하게 사과 몇 번 했다고 해서 국민이 받아주면 좋겠지만, 그게 아니라고 하면 당을 위해서도 그렇고, 대통령을 위해서도 그렇고 자기가 (스스로) 조치를 하는 것이 책임 있는 정치인의 자세"라고 지적했다.

    한 친박계 의원도 "창피해서 활동을 못 할 지경인데 지역구에선 윤상현 의원의 이번 행동이 대통령에게 큰 누가 됐다고들 한다"고 언급했다.

    비박(非朴) 진영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반전을 꾀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김무성 대표의 비서실장인 김학용 의원은 "도의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망동이자 도저히 용납해서는 안되는 해당행위"라며 사실상 윤상현 의원의 공천 배제를 요구했다.

    비박계 3선 중진인 강길부 의원은 12일 자신의 컷오프와 관련, "친박 핵심 윤상현 의원은 울산 울주군 공천에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지역구 공천은 국민공천(公薦)이 아니라 계파사천(私薦)으로, 지지율이 가장 높은 현역의원을 배제하고 친박 후보만 경선을 시켰다"고 강변했다.

    "이번에 밀리면 끝이다"라는 심정으로 비박계가 혈투를 벌일 것이라는 전망도 흘러나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물밑 거래가 이뤄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윤상현 의원의 욕설 파문을 문제삼지 않는 대신 김무성 대표를 비롯해 이재오-유승민-정두언 의원 등 비박계 핵심 의원들을 경선에 포함시키는 방안이다. "이대로 가면 20대 총선에서 원내 과반(過半) 140석이 무너질 수밖에 없을 것"이란 위기감도 거래 가능성에 힘을 보태는 형국이다. 20대 국회에서 과반이 꼭 필요한 청와대도 이번 사태의 진정을 원하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