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核 대응' 공조외교, V4 국가들과 한-비세그라드그룹 정상회의
  • ▲ 박근혜 대통령과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이 2일 오후(현지시간) 체코 프라하성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박근혜 대통령과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이 2일 오후(현지시간) 체코 프라하성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박근혜 대통령의 중유럽 공략이 시작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구체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행동 계획(Action Plan)을 채택했다.

    행동 계획은 양자협의 강화와 외교부간 정무 대화 활성화,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인프라·연구개발(R&D) 분야 협력 강화, 워킹홀리데이 프로그램 등을 통한 청년교류 증진 및 상호 문화행사 활성화 등의 실행 방안을 담았다.

    이날 회담은 제만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약 45분 간 배석자 없이 환담 형식으로 진행됐다. 양자 회담 직후 양국의 정부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확대 정상회담이 이어졌다.

    회담 당시 두 정상은 체코의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주축으로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 대해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10조원대 규모의 체코 원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는 평가다. 양국은 이날 정상회담을 계기로 원전 관련 건설 및 기술교류 협력과 과학기술·ICT·보건의료 협력을 포함한 18개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원전과 관련해 서로 가진 강점을 추진하고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 위한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에 원자력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원전과 관련한 기관이 양해각서(MOU)도 체결해 체코의 신규 원전 건설과 관련한 양국의 협력기반을 마련했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한국은 오랜 기간 국내외에서 원전을 건설하고 성공적으로 운영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체코의 경우 유럽형 원자로 운영의 상당한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국이 잘 협력한다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양국의 원전 협력을 바탕으로 폴란드·슬로바키아 등 제3국 공동 진출방안도 현실화할 수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제만 대통령은 "한국 측이 체코 원전 사업에 참여 의사를 밝힌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박 대통령이 국방 분야에서 (한국산) 수리온 헬기의 공급(판매)을 제안한 것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체코는 혁신기술 분야에서 협력할 여지가 많은데 특히 나노·바이오 기술을 강조하고자 한다"고도 했다. 제만 대통령은 "체코는 전자현미경 등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고, 이런 첨단 기술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기를 희망한다"고 부연했다.

    체코는 테멜린(Temelin)·두코파니(Dukovany) 지역에 10조원 규모의 원전 건설을 추진 중이다. 총 6기의 원전을 운영 중인 체코는 신규 원전 2기 건설계획을 확정했다. 체코는 내년에 사업 모형을 결정한 후 2019년 공급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나아가 양국 정상은 한반도 평화통일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테러 척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 동참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중유럽 핵심국가인 체코에서 제만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데 이어 현지 시각으로 3일 체코, 폴란드,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 V4 국가들과 한-비세그라드그룹 정상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이후 박 대통령은 베아타 쉬드워 폴란드 총리,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와 연쇄 정상회담을 열고 인프라 및 통상·무역 확대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박 대통령은 V4 국가들과의 경제-안보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V4 그룹은 유로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어 경기회복에 진입할 경우 성장엔진으로 떠오를 것으로 기대된다. 박 대통령은 과거 친북(親北) 정책노선의 유산이 남아있는 V4 국가들과 북핵(北核) 문제 대응에서의 공조외교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