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정수 확대는 '한마음', 비례대표 수에선 '으르렁'
  • ▲ 공직선거법심사소위원회는 24일 국회에서 내년도 20대 총선에 도입될 선거구 획정을 논의했다. ⓒ연합뉴스
    ▲ 공직선거법심사소위원회는 24일 국회에서 내년도 20대 총선에 도입될 선거구 획정을 논의했다. ⓒ연합뉴스

    여야가 2015년 총선에 도입될 선거구획정 기준을 논의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한 채 갈등만 겉으로 드러냈다. 여야 의원 40명으로 구성된 정치개혁특별위원회 공직선거법심사소위원회는 일부 의원들의 참석으로 24일 회의를 진행했지만, 지난 17일에 이어 서로의 이견차만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법심사소위는 다음주 중으로 회의를 2회 더 진행할 전망이다. 그러나 양 측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협의점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가장 큰 갈등을 보인 부분은 선거구획정 기준 순서였다. 새누리당은 선거구획정 기준을 세운 뒤 국회의원정수를 이후에 협의하자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의원정수를 먼저 정하자며 여당의 의견에 극구 반대했다.

    이날 선거구획정과 의원정수의 결정 순서부터 발이 꼬인 선거법심사소위는 정작 중요 쟁점은 논의하지도 못하고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선거구 획정 기준에 대해선 여상규 의원이 제시한 조정 대상 선거구 최소화를 내세웠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김태년 의원이 주장한 연쇄적 재편으로 맞섰다.

    선거구 구성에 대한 방식에 대해서 새누리당은 선거구의 역사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치구·시·군을 최소화 해야 한다고 했으며, 새정치연합은 선거구를 구성할 수 있는 인구 여건을 갖춘 지역에 대해선 다른 자치구·시·군과 합치지 말아야 할 것을 주장했다.

    여야가 공감대를 이룬 부분도 일부 있었다. 의원정수를 확대하는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비례대표의 숫자를 정하는 부분에서  재격돌하면서 결과 도출에는 이르지 못했다.

    한편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선거구획정안을 충분히 논이하기 위해선 정개특위에서 선거구 획정기준 결정을 다음달 13일까지 해야 한다고 종용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