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급한 文 , '성완종 파문' 이어 세월호 재이슈화..재보선 4곳 전패
  •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운데)가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농성 중인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이석태 위원장(왼쪽 두번째)과 면담하고 있다.ⓒ연합뉴스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운데)가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농성 중인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이석태 위원장(왼쪽 두번째)과 면담하고 있다.ⓒ연합뉴스


    4.29 재보궐선거에서 제1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참패(慘敗)했다. '정권 심판'을 목 놓아 불러봤지만, 되돌아 온 것은 야당에 대한 냉정한 '국민 심판'이었던 셈이다. 

    새누리당은 전통적 야권 강세 지역인 서울 관악을은 물론 경기 성남중원, 
    인천서강화을 3곳에서 승리를 거둔 반면, 선거지역 4곳 전승 가능성을 언급했던 새정치민주연합은 단 한 곳에서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새정치연합은 야당 텃밭인 광주 서을마저 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천정배 후보에게 내주고 말았다. 

    전패를 직감하고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었을까.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선거 당일인 29일 오전 느닷없이 광화문 광장에서 농성 중인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이석태 위원장을 찾았다. 

    이번 선거에서 '성완종 파문'을 앞세워 정권심판을 외쳐댔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사실상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세월호 문제를 다시 꺼내들고 나선 것이다.

    그러나, 보여주기식 정치행보와 무차별한 정치공세는 이제 더 이상 국민에게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왜 아직 몰랐던 것일까.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일침처럼 선거 전패에 대한 두려움에 정신을 잃기라도 했던 것일까. 

    문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를 마친 직후 서둘러 광화문 광장으로 향했다. 선거를 앞두고 예정에 없던 '이석태 위원장 격려' 일정이 생겨난 것이다. 

    문 대표는 이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오는 30일 차관회의를 열어 세월호 특별법 시행령안을 처리키로 한 것과 관련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특조위와 협의해야 하는데도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인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선거를 앞두고 입만 열면 정권 심판-정부 비난을 쏟아낸 것이다. 

    특히 문 대표는 정부 비판 소재가 떨어진 듯, 정부 관계자가 이 위원장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특별법으로 만들어진 특조위 위원장이 광화문에서 농성하는데 해양수산부에서 어떻게 아무도 방문하지 않느냐. 어떻게 이럴 수 있느냐"고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 ▲ 지난해 8월 22일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 투쟁을 하는 문재인 의원이 혼자 주변을 걷고 있다. ⓒ뉴데일리 정재훈 기자
    ▲ 지난해 8월 22일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 투쟁을 하는 문재인 의원이 혼자 주변을 걷고 있다. ⓒ뉴데일리 정재훈 기자


  • 문 대표의 이날 행보는 재보선 당일 급작스럽게 이뤄졌다는 점에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성완종 파문' 공세에 올인했음에도 도리어 선거 전패 전운이 감돌자 
    '세월호' 문제로 유권자의 관심을 환기시겠다는 의도로 해석됐다. 이를 통해 '정권 심판론'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지층을 막판까지 결집시켜 한 석의 선거지역이라도 건지겠다는 계산이 깔린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관계자는 문 대표의 갑작스런 방문에 대해 "이석태 위원장이 농성을 시작한 당일 방문하고자 했으나 선거운동으로 이제야 방문한 것"이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그간 문 대표의 정치 행태로 비춰봐도, 선거 참패에 대한 두려움과 초조함이 묻어난 
    임시변통 (臨時變通)식 행보가 아닐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문재인 대표는 그동안 정치적 어려움에 처할 때마다 장외투쟁이나 단식투쟁의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왔다. 

    문 대표는 지지율 폭락이 이어지던 지난해 8월 광화문 광장에서 
    단식투쟁을 벌이던 김영오 씨를 살려야 한다며 옆자리에서 10일 동안 동조 단식을 벌인 바 있다. 당내에서는 중도합리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민생을 외면한 채 국회를 버리고 장외에서 농성을 벌이는 것은 옳지 않다는 비판이 쇄도했지만, 그는 길거리 투쟁으로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켰다. 

    당시 문재인 대표는 
    "저는 김영오 씨의 생명이 걱정돼 단식을 말리려고 단식을 시작했다"고 주장했지만,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해 '떼단식' 확산과 사회분열 조장도 불사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번 농성 현장 방문으로, 단식 투쟁을 대하는 문 대표의 이중성 논란도 또다시 회자되고 있다. 그는 
    2004년 8월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승려 지율의 '천성산 KTX공사 반대 단식'을 돕던 시민단체를 향해 "단식을 부추기는 일을 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문 대표가 '그때그때 달라요'식 이중적인 잣대로 사회적 갈등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 ▲ 문재인 대표와 우윤근 원내대표 등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들이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친박권력형 비리게이트 진상규명 촉구 결의대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 문재인 대표와 우윤근 원내대표 등 새정치연합 소속 의원들이 2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친박권력형 비리게이트 진상규명 촉구 결의대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이번 선거는 야권의 분열 구도를 감안하더라도, 현 정권에 불어닥친 
    '성완종 리스트' 파문 의혹으로 야당이 상당히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문 대표가 참패했다는 것은 야당의 지나친 정권심판론이 역풍을 불러왔다고 볼 수밖에 없다. 

    참여정부의 특별사면 논란에 대한 명확한 해명도 없이, 정치자금 문제에 있어 
    자신들은 깨끗한 것마냥 공세를 퍼부었던 것이 부메랑으로 돌아온 것이다. 

    결국 이번 선거 결과는 민생을 외면하고 투쟁 정치를 일삼는 후안무치한 친노(親盧
    ·친노무현)세력을 향한 국민의 마지막 경고일지도 모른다. 

    문 대표는 이번 선거를 통해, 더 이상 투쟁정치와 진정성 없는 보여주기식
     행보로는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깨달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