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인수위 외교통일안보팀과 협의 "대응 주체는 정부"이례적 입장 표명.. 북한 문제 중요하게 생각한듯
  •  

     

  • ▲ 사진은 작년 12월12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은하 3호' 로켓이 발사되는 모습. ⓒ 연합뉴스DB
    ▲ 사진은 작년 12월12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은하 3호' 로켓이 발사되는 모습. ⓒ 연합뉴스DB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23일 북한이 유엔 안보리의 추가 대북제재에 반발해 한반도 비핵화 포기를 선언한 것에 대해 이례적으로 입장을 밝혔다.

    "북한이 3차 핵실험 등 추가적으로 상황을 악화시켜나가는 조치를 취하지 않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이날 오후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현 단계에서 대응 주체는 정부"라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인수위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그동안 인수위는 주요 현안에 대해 개입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왔다. 전날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에 대한 입장 표명이 전부였다.

    윤창중 대변인은 브리핑 뒤 기자들과 만나 "그만큼 중요한 사안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조윤선 당선인 대변인은 인수위 공동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창구를 단일화해서 정부가 일관된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인수위 외교통일안보팀과 협의해보니, 인수위는 인수인계 업무를 하는 곳이어서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판단이다."
       - 조윤선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와 관련한 대응으로 한국시간으로 이날 새벽 북한의 기관 6곳, 개인 4명을 제재 대상에 추가하는 내용을 담은 대북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즉각 환영의 뜻을 밝혔지만, 북한은 비핵화 포기를 선언하며 3차 핵실험 가능성까지 내비췄다.

    "세계의 비핵화가 실현되기 전에는 조선반도 비핵화도 불가능하다는 최종결론을 내렸다.
    핵억제력을 포함한 자위적인 군사력을 질량적으로 확대강화하는 임의의 물리적 대응조치들을 취하게 될 것이다."
       - 북한 외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