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윤이상' 부인과 딸, 김정일 조문하고 보란듯 한국 입국

이 씨 모녀, 독일 국적이라 방북 가능... 취재진 질문엔 묵묵부답윤이상 딸, '통영의 딸' 구출하는데 도움달라는 부탁 거절... 오히려 오길남 박사 고소

입력 2012-01-02 10:38 수정 2012-01-18 16:04

 

▲ 통영 출신의 음악가 윤이상씨의 부인 이수자씨가 김정일을 조문하고 1일 부산 김해공항으로 입국, 차량에 오르고 있다. ⓒ 연합뉴스

종북음악가 윤이상의 부인 이수자(85) 씨와 딸 윤 정(62) 씨가 김정일 조문을 위해 방북했다가 지난 1일 오전 부산 김해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1995년 사망한 윤이상은 독일 유학생 오길남 신숙자 씨 내외가 북한 공작원에게 포섭돼 월북하는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북한에 억류된 신 씨 모녀의 생환을 위해 ‘통영의 딸’ 구출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 극과 극이다. 이수자의 자서전‘나의 독백’에 실린 그의 평양 교외 주택(왼쪽). 사진 속의 개를 안고 있는 사람이 이수자. 김일성이 윤이상 부부에게 내준 이 집은 평양 중심지에서 자동차로 25분 거리에 있으며, 잔디가 깔린 넓은 뜰에 온갖 꽃과 나무가 심어져 있다. 오른쪽은 함경남도 요덕수용소에 수감된 신숙자씨와 오혜원-규원 모녀. 1991년 윤이상은 오길남씨에게 북으로 돌아갈 것을 종용하며 가족의 육성이 담긴 테이프와 이 사진을 건넸다. ⓒ

부산에 도착한 이 씨 모녀는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질문이 쇄도하자 딸 윤 씨는 "어머니가 안 좋으십니다"라며 말을 끊었다.  이 씨 모녀는 북한 강제 수용소에 갇힌 '통영의 딸'을 구출하는 데 힘써달라는 부탁을 매몰차게 거절한 바 있다. 이 씨 모녀는 곧바로 입국장을 나가 대기하고 있던 차량을 타고 김해공항을 빠져나갔다.

▲ <조선중앙방송>은 해외교포의 조문이 이어졌다는 보도를 통해 윤이상의 부인 이수자 와 그의 딸이 조문하는 모습을 내보냈다. ⓒ

모녀의 방북 사실은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2011년 12월 27일 “해외동포들이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의 영전에 조의를 표시했다. 이들은 윤이상 선생의 부인 이수자를 비롯한 해외동포”라고 보도하면서 알려졌다.

딸 윤 씨는 2011년 12월 신숙자 씨의 남편 오길남 박사를 "부친(윤이상)이 오 박사에게 월북을 권유했다는 증거가 없는데도 권유한 것처럼 (오 박사가) 주장해 부친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사자(死者)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이에 대해 최근 채병률 실향민중앙협의회장(82), 군사평론가 지만원 씨(69)는 이수자 씨 모녀를 국가보안법 위반 및 무고 혐의로 대검찰청에 고발했다. 이들은 고발장에서 “독일 국적이지만 헌법상 우리 영토인 평양에서 범죄행위를 저지른 데다 윤이상 씨가 월북을 권유했다고 밝힌 오길남 씨를 사자(死者) 명예훼손 혐의로 고발한 것은 무고 행위”라고 주장했다.

▲ 경남 통영에 있는 종북음악가 윤이상 가족들의 주택. ⓒ

독일 국적인 두 사람은 지난 1일 오전 11시 35분쯤 해남항공 중국 베이징(北京)발 HU7909편을 타고 입국했다. 한국 국민이 이들처럼 무단 방북하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처벌받는다.

이들은 통영과 평양, 그리고 독일에 집을 갖고 있고 세 곳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풍족한 삶을 사는 반면, '통영의 딸들'은 요덕수용소 등에서 고통스런 삶을 이어가고 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임정환의 경제읽기]디플레 징후 확산… 내년초 경기 중대 분수령

[임정환의 경제읽기]디플레 징후 확산… 내년초 경기 중대 분수령

국제유가 60달러대로 곤두박질… 추가 감산에도 美 석유 재고에 中경기둔화 우려 커
'세계의 공장' 中 디플레 불안 가중… 무디스의 국가신용등급 '부정적' 하향 전망이 불안 불지펴
미국도 고용 냉각·부동산거래 급감 등 침체 조짐 확산… 경기선행 지표인 구릿값도 하락 전환
내년 3월 이후 연준發 금리인하 기대감 지속 상승… 지정학적 리스크 등 변수에 중대 분기점될 듯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