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3대 세습 반대” 빠진데 내부 반발
  •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등 진보진영이 지난 1일 정책합의문을 채택하고 9월 통합신당 창당을 목표로 후속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대북문제를 둘러싸고 각 당의 내부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정책합의문에 “3대 세습에 반대한다”는 표현을 넣을 것을 주장한 진보신당의 반발이 거세다. 합의문에 ‘3대 세습’이나 ‘반대한다’는 표현 모두 빠져있기 때문이다.

    대신 합의문은 “북의 권력 승계 문제는 국민 정서에서 이해하기 어려우며 비판적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견해를 존중한다”고 돼 있다.

    진보신당의 부대표 4명 가운데 김은주 부대표 등 3명은 “졸속ㆍ부실 합의문”이라며 대표단 회의에서 이 합의문을 승인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냈다.

    당내 반발이 거세지자 조승수 대표는 ‘11일 전국위원회-26일 전당대회 합의문 통과’를 위해 오는 7일 서울을 시작으로 전국 순회 간담회 등을 갖고 직접 대의원ㆍ당원을 설득키로 했다.

    민노당도 겉으로는 드러나지는 않지만, 일부 반대 분위기도 수면위로 나오고 있다.
    3대 세습은 ‘북한이 결정할 문제’라는 언급이 당의 공식 입장보다 합의문이 후퇴했다는 이유에서다.

    민노당 안팎에서는 19일 당 대회에서 합의문 추인에 필요한 3분의 2의 대의원을 채우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합의문에 반대하는 대의원이 불참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각 당내 진통이 계속됨에 따라 합의문 추인이 불발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뒤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