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환 국토부 장관 해임론…정부가 책임져야
  • 동남권 신공항이 끝내 백지화로 결론나면서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에 대한 여권의 문책론이 거세다. 또한 여권 지도부 중 대다수가 영남권 출신이거나 영남권에 지역구를 두고 있어 정부를 향한 질책과 비판이 매섭게 이어지고 있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31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동남권 신공항은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났었는데도 2008년 30대 광역프로젝트로 선정됐다”면서 “이에 입지선정 기간을 끌면서 문제가 확대된 점에 대해 정부 당국자가 책임 져야 한다”고 밝혔다.

  • ▲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동남권 신공항 문제와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동남권 신공항 문제와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특히, 김 원내대표는 “정종환 장관을 비롯한 국토해양부 공무원들이 정치권의 비합리적인 외압에 굴복해 예천, 청주, 무안, 양양, 울진 공항을 건설, 제대로 가동하지 못한데서 오는 엄청난 국익 손실을 입혔다”고 말했다.

    부산에 지역구를 둔 서병수 최고위원도 유감을 표했다. 서 최고위원은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국토 균형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라는 시대정신에 바탕한 백년대계였다”면서 “김포 국제공항을 인천공항으로 이전했듯이 흑자공항인 김해공항을 확장, 이전해야할 필요성 때문에 입안된 것인데 이제와서 경제성이 모자란다, 지역에서 떼를 쓴다는 식으로 결론 내는 것은 영남지역을 폄하하는 행태”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그런데 그것마저도 소통과 설득이라는 정도를 걷기보다는 백지화 결정을 흘려서 반발을 분산해 보겠다고 하는 편법을 선택”면서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면 진정을 다해 정정당당하게 설득하는 과정과 대안이 제시돼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박성효 최고의원도 동남권 신공항 추진 여부를 늦게 결론 낸 점을 지적했다. 박 최고의원은 “지방자치단체장도 당선되면 공약 실천 계획을 6개월 내에 만들어 추진한다”면서 “이번 동남권 신공항은 대선이 끝난 지 3년이나 지나서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는 것을 보면서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