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교전규칙 전면조정 등 대응책 마련할 것”북한 해안포 진지 피해상황 수집해 정보 분석 중…“결과 발표할 것”교전규칙 공세적으로 변경…연평부대에 필요한 시설, 장비, 민간보호시설 보강할 것
  • 합동참모본부(의장 한민구. 이하 합참)은 25일 오전 11시 25분 경 연평도 포격 관련 배경 브리핑을 갖고 23일 북한의 연평도 기습공격 상황 및 이후 조치, 교전규칙 등에 대해 설명했다.

    합참은 그동안 가장 논란이 된 ‘교전규칙’과 관련, 북한 해안포 진지를 공군기로 폭격하지 않은 것은 비례대응의 원칙에 따라 동일한 무기로 대응해야 했기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합참은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현행 교전규칙을 UN사령부와 협의해 전면 수정 보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합참은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기밀이지만 군을 대상으로 한 교전 상황과 민간인 공격 상황 등에 대해 다른 수준의 대응책을 세울 것”이라며 “교전규칙에 2~3배 등의 문구는 없지만 비례대응의 원칙을 조금 바꿀 것”이라고 말해 공세적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음을 내비쳤다.

    이에 ‘UN군 사령부가 교전규칙 변경을 거부하면 바꿀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묻자 합참 측은 “물론 그렇지만 이번처럼 민간인이 무차별 공격을 당한 상황은 이야기가 다르기 때문에 협의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현재 연평도에 배치된 대포병 레이더 AN/TPQ-36의 문제점도 인정했다. 이 레이더는 저고도로 날아오는 포탄과 그 발사지점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또한 연평부대 자주포 중 처음 피격된 자주포는 포탄 폭발의 충격으로 전자식 사격통제장치가 고장 났었다고 밝혔다. 나머지 자주포 중 1문도 훈련 중 불발탄 때문에 대응사격에 나서지 못했다고 했다. 따라서 첫 대응사격은 3문의 K-9 자주포만 나섰다는 것. 이후 2차 대응 사격 때는 이 중 1문을 수리해 모두 4문으로 대응사격을 했다고 밝혔다.

    북한군의 피해상황에 대해서는 “현재 한미 정보자산들을 집중해 북한의 피해상황을 분석 중이다. 정보 분석이 끝난 뒤 결과가 나오면 밝힐 것”이라면서도 "우리 군의 대응사격이 막사 등을 향한 것이 아니라 통신시설과 지휘시설이었다. 때문에 상당한 피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초기 대응사격 당시 대포병 레이더의 가동상태, 북한의 포탄이 열압력탄인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다’며 답변을 하지 못했다. 연평부대의 전력과 해병대 전력 부분에 대해 잘 알지 못해 답하지 못하는 것도 많았다. 여기다 브리핑 시간도 예정보다 1시간 가량 늦어졌다.

    그럼에도 브리핑을 맡은 합참 작전기획부장 신현돈 육군 소장은 “포격이 멈춘 후 지금까지 북한군의 추가도발이나 특이동향이 없는 상황에서 저희가 발표할 게 없는 상황이지만 국민들께서 궁금해 하시는 것도 많고, 지금까지 있었던 사건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해 브리핑을 갖는다”고 말해 일부 언론의 불평을 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