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군과 북한국의 비대칭 전력은 미사일 화학무기 특수부대 잠수함만이 아니다. 북한의 사이버전 수행 능력도 한국보다 우월하다. 천안함 다음 북의 공격은 사이버공격일 가능성이 크다.”
    국내 전문가들이 천안함 다음으로 북한이 사이버공격을 가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또 북한의 사이버전 수행 능력이 우리가 상상한 것보다 훨씬 강하다고 밝혔다.
    비대칭 전력이란 적이 군사적으로 현저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부분을 말한다. 북한이 우리에 비해 확고한 우위를 점한 부분은 미사일 화학무기 특수부대 잠수함정 등이 꼽힌다.

  • ▲ 지난해 7월 DDoS 공격을 감행한 것도 북한이라는 진단이 유력하다. ⓒ 연합뉴스
    ▲ 지난해 7월 DDoS 공격을 감행한 것도 북한이라는 진단이 유력하다. ⓒ 연합뉴스

    하지만 지난해 7월 경험했던 DDoS(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이 북한의 소행이 거의 확실한 속에서 사이버전에 대한 방비가 그만큼 절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이다. 국정원은 당시 사이버 테러의 배후로 북한군 총참모부 정찰국 산하 110호 연구소를 지목했다.

    임종인 고려대 교수(한국정보보호학회장)는 “핵 미사일 잠수함 등의 비대칭 전력은 개발에 상당한 비용이 들지만 사이버전 수행 능력 향상은 상대적으로 싸게 이룰 수 있다”며 “북한의 입장에서 매우 매력적인 카드”라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북한은 이미 1989년 조선컴퓨터센터(KCC)를 시작으로 현재 지휘자동화대학(구 미림대학)과 모란대학 등을 통해 사이버전 엘리트들을 양성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이들이 지난해 7월 7일 DDoS 대란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DDoS 사이버 테러의 배후로 지목된 북한군 총참모부 정찰국 산하 110호 연구소는 기존의 사이버 전쟁 전담 부대인 ‘기술정찰조’와 ‘조선컴퓨터센터(KCC)’ 등을 확대 편성한 것. 북한은 지난해 국방위원회의 정찰총국 예하에 ‘전자정찰국’도 신설했다. 이들의 임무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과 일본 등 국가와 군 관련 주요 기관의 컴퓨터망에 침입해 비밀 자료를 훔치거나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일로 알려졌다. 병력도 1000명이 넘는 대규모라는 것이 정보당국의 분석이다.

    윤규식 육군종합행정학교 교수는 “김정일이 ‘20세기 전쟁이 기름전쟁이고 알탄(탄환)전쟁이라면, 21세기 전쟁은 정보전쟁’이라며 사이버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기무사령부가 공개한 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 군 전산망을 해킹하려는 시도가 2008년 대비 20% 증가한 하루 평균 9만5000여 건에 달했다”라며 “미 국방부도 2006년 국방성과 국무부 등 군사관련 인터넷을 조회한 국가를 역추적한 결과 북한이 최다 접속국으로 판명됐다”고 소개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북한의 해킹능력은 미국 CIA(중앙정보국)에 버금갈 것이란 평가도 있다”고 밝혔다.

    하태경 열린북한방송 대표는 “북한 해커들이 주로 중국을 거점으로 활약하고 있다”며 “북한 자체는 인터넷 인프라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중국이 주 활동 무대”라고 설명했다.
    하 대표는 “지난해 DDoS은 김정일의 후계자 김정은이 주도했다”라며 “북한은 전자전에 대비하여 총체적인 준비를 진행해온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그는 “사이버 테러 외에 EMP(Electronic Magnetic Pulse)이라는 무기를 북한이 보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EMP은 터지면 모든 전자 장비의 작동이 중지되는 무기로 이를 이용해 주요 행정기관을 쉽게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하 대표의 설명이다.

    임종인 교수는 “천안함 다음 북한의 선택은 사이버 공격이 될 가능성이 크다”라며 “정부가 현 상황에 대해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