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6자회담 중단 이후 사실상 단절됐던 미국, 북한간 공식대화가 이르면 월말 또는 내달초께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11일 정례브리핑에서 "미국은 북한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앞으로 2주일 내에 (회담 시기, 장소 등에 대한) 결정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크롤리 차관보는 "우리가 준비돼 있다는데는 컨센서스(합일점)가 형성돼 있다"고 말해 스티븐 보즈워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최근 한국, 중국, 일본 순방을 통해 북.미 양자대화에 대한 완전한 양해가 이뤄졌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국무부는 양자회동의 올바른 성격규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유독 강조했다. 북한과 앞으로 이뤄질 어떠한 대화도 6자회담 프로세스 내에서 진행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북한을 다자회담에 복귀시키는데 맞춰져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간 국무부가 북.미 양자회담은 6자회담에 선행할 수 없다고 일관되게 주장해 오다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양자대화도 가능하다고 입장을 선회한데 대한 비판적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입장에서는 북한이 제2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의 도발행위를 중단하고 최근 미국과 양자대화를 위한 유화공세를 계속하는 상황에서 6자회담 복귀를 전제조건으로 계속 고집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특히 북한이 보즈워스 대표의 한중일 순방에 맞춰 "우라늄 농축시험을 거의 성공적인 단계까지 마무리했다"고 으름장을 놓은 것도 미국으로 하여금 북한의 양자대화 요구를 수용하도록 재촉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미국이 `북-미 양자대화'에 대한 한,중,일, 러시아 등 나머지 6자회담 당사국의 양해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2주간 뜸을 들이기로 한 것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1~25일 열리는 유엔총회 기간에 6자회담 당사국 정상들과 북.미대화를 놓고 교감하는 절차를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리는 모양새를 갖추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북.미 대화가 결정되는 시점은 유엔총회와 피츠버그 G-20(주요 20개국) 금융정상회의 이후인 이달 말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양자대화의 장소는 북한이 이미 보즈워스 대표에게 평양방문을 초청했던 만큼 이변이 없는한 평양이 될 가능성이 유력하다. 보즈워스 대표가 방북할 경우, 6자회담 수석대표인 성 김 대북특사도 동행하게 된다. (워싱턴=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