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합원 3만명의 KT노조가 17일 민주노총 탈퇴를 결정, 민주노총의 세력에 변화를 몰고 올지 주목된다. 민주노총이 곧바로 타격을 받는 것은 물론 다른 노조에 미치는 연쇄효과로 향후 세력 결집에도 차질을 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민주노총은 이를 일축하고 있다.

    일단 KT노조의 탈퇴는 산별노조 하나가 와해하고 출범 때부터 함께 한 동지를 잃는다는 상징적 충격도 클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KT노조는 작년 말 조합원이 2만7400여명이고 합병한 KTF 조합원 1700여명을 합치면 3만명에 가까운 규모다. 이는 KT노조가 속한 민주노총 IT(정보기술)연맹의 총원인 3만535명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산별노조 하나가 통째로 사라지는 셈이다.

    KT노조는 민주노총이 1994년 제조업을 중심으로 태동할 때 4만여명의 조합원을 이끌고 합류, 1995년 민주노총이 제반 업종을 아우르는 총연합단체로 출범하도록 힘을 보탠 창립 구성원이다. 이런 대형 노조가 이탈함에 따라 민주노총의 정치투쟁 노선을 부담스러워 하며 일정 거리를 뒀던 다른 노조의 `탈퇴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IT연맹이 민주노총에 내는 맹비(盟費)가 연간 4억원 정도인 만큼 사업 집행에도 미미하나마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부 변화는 불가피하지만 `타격'을 거론할 정도는 아닐 것이라는 관측도 나름대로 설득력을 얻고 있다. KT노조가 2000년대 중반부터 민주노총과 다른 행보를 취해왔다는 점에서 탈퇴가 실질적으로 미칠 파급력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2004년 현대중공업이 제명됐을 때와 최근 인천지하철 노조가 탈퇴했을 때도 과장된 `와해설'과 `탈퇴 도미노설'만 무성했다는 측면에서 이번에도 같은 현상이 재연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이번 탈퇴한 조합원은 80만명 가운데 3만명에 불과하다"며 "KT노조가 출범을 함께한 구성원이기는 하지만 그 시절 KT노조의 민주노조 운동은 이미 퇴색해 문제가 될 게 없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노총이 약화한다는 말은 객관적인 전망이라기보다 오히려 약화하기를 바라는 쪽의 희망에 가깝다"며 "민주노총은 어용 노조나 정부와 싸우는 조직으로 거듭나는 것이고 남은 노조의 결속력을 다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