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국회 문과체육관광통신위에 '미디어법'관련 최종 보고서를 제출한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미발위)가 보고서 제출 뒤 기자회견을 열고 110일 활동기간에 대한 소회를 털어놨다.

    민주당과 창조한국당 추천 위원들의 사퇴로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 추천위원 11명만이 참석했는데 한나라당 추천으로 위원회에 참석한 김영 위원(전 부산MBC 사장)은 미발위 활동과 관련, 비판적으로 보도한 언론에 대해 "언젠가 그것이 잘못됐었구나 하고 느낄 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은 "(나는) 지역에서 올라와 오늘 헤어지면 기회가 없을 것 같아 미발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느낀 소회를 한마디 하겠다"고 말문을 연 뒤 활동 중 여론조사 미실시를 이유로 사퇴한 야당 측 위원들을 비판했다. 또 이들의 목소리를 집중적으로 보도한 일부 언론에 대한 불만도 가감없이 쏟았다.

    김 위원은 "방송이 신문을 장악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우리 신문의 1년 매출액이 3000억~4000억원으로 중소기업 정도"라며 "왜 중소기업이 방송에 들어가는 것을 겁내고 두려워하느냐"며 "(역으로) 방송이 신문을 소유할 수도 있는데 MBC가 조선 동아를 소유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 봤느냐"고 물었다.

    김 위원은 "방송의 여론지배력은 그렇게 막강하다. 이런 막강한 방송이 조·중·동(조선·중앙·동아일보)을 소유했을 때 그 위력은 얼마나 대단하겠는가"라고 지적한 뒤 "이런 부분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은 "방송은 PD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이 무너졌다"고 주장한 뒤 "뉴미디어의 신문진입은 허용하면서 올드미디어인 지상파 방송에 대해선 진입을 규제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꼬집었다.

    야당 측 주장을 집중 보도하며 미발위 활동을 비판한 일부 언론을 향해서는 "야당 측이 장외투쟁을 하고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는데 이들이 금과옥조처럼 떠들고 다니는 여론조사 데이터를 분석해보고 비판기사를 써 본 적이 있느냐"고 따졌다. 곧바로 "안썼죠"라고 자답한 김 위원은 "그분들의 잘못에 대해서도 기자가 중립적 입장에서 비판을 해야하지 않느냐"고 취재진에 물었다.

    김 위원은 야당 측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대해서도 "그 분들 여론조사의 응답률이 13%다. 조사대상은 1000명으로 했다. 그렇게 대한민국 미디어를 걱정하고 자기들 주장만이 정론이라고 하는데 서울시민 1000만명 중 267명에게 물어놓고 여론이라 하는데 여론이 맞느냐"고 따졌다. 또 "조사 문항을 보면 '삼성,LG,SK와 같은 대기업이 지상파 방송을 소유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고 묻는데 이런 조사는 여론조사 기법을 무시한 것"이라며 "이런 조사결과를 믿어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왜 여기에 대해서는 저널리즘 본질에 충실한 기자들이 비판을 하지 않느냐"고 물었다.

    김 위원은 "만일 문항이 달랐다면 여론조사 결과는 180도 달라질 수 있다"면서 "리스크가 큰 여론조사로 사기치고, 국민을 속이고 기만하는데 대해 현명한 판단이 있어주길 바란다"고 요구한 뒤 "어느 쪽이 과연 언론의 미래 발전을 위해 고민하고 주장하는지, 그 주장이 타당한지 현명한 판단이 있길 간곡히 기대한다"고 했다.

    김 위원은 이날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도 "그렇게 중요한 자료라면 적어도 최하 5000명, 많게는 100만명까지 물어야지 (조사대상이) 1000명이 뭐냐"고 따졌다. 그는 "인구비례로 서울에서 267명을 조사했다는데 이들을 남녀로 구별하고 연령별로 구별하면 그야말로 국민 여론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조사결과를 보면) '미디어법을 잘 모른다'는 응답이 40%가 나왔던데 그러면 1000명 중 60%인 600명만이 미디어법을 안다는 것이고 그들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한 것인데 얼마나 부정확하고 앞뒤가 안맞는 것이냐"면서 "이런 조사결과를 국민여론이라 몰아붙이는 것은 대단히 잘못"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