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권초로는 사상 최악인 20%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는 현 정부와 여당이 쇠고기 파동으로 얼어붙은 민심 수습에 나선 가운데 한나라당 공성진 의원은 "국무총리실의 조정기능이 없어진 것과 청와대의 몇몇 기능이 부재한 것을 망라해서 시스템을 정비하고,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 의원은 31일 CBS라디오'시사자키'에 나와 "촛불집회에 요즘은 10대가 많이 줄어들고 30~40대가 많이 참여하던데 그분들과 얘기를 나눠보니 이것이 정치투쟁으로 변질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공 의원은 "6월 3일에 이명박 대통령과 강재섭 대표의 정례회동이 있을 것이다. 그때 강력한 국정쇄신책을 건의할 건데, 인적쇄신뿐 아니라 제도쇄신도 같이 건의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누가 이 사태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궁극적으로는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드린 것은 이 대통령을 위시한 정부 모든 분들에게 있다. 그러나 굳이 따지고 든다면 담당 장관이나 국정을 조회해야 할 책임이 있는 수석비서관일 것"이라고 답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인적 쇄신은 없다"던 이 대통령이 입장을 바꿔 쇄신 카드를 꺼내드느냐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나라당의 유력한 차기 당대표 후보인 박희태 의원도 "인적 쇄신 문제는 이 대통령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말한 바있다. 이 대통령이 결단을 내릴 경우, 다음달 4일 재보선이 끝난 다음 날 국회 개원 연설이나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쇄신 방안을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공 의원은 또 "장관고시 이후 민심이 더 안좋아지고 있는 것 같다"면서 "국민적 요구가 고시 연기였는데 우리가 그 문제보다는 고시를 하는 것이 오히려 매도 빨리 맞는 게 낫다는 차원에서 해서 이런 고비가 있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