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매간첩단' 윤미향 남편 여동생·정대협 간부 참여 단체, 북한에 14년간 260억 지원… 출처·내역 불분명
  • ▲ 대학생겨레하나 회원들이 2018년 6월 1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5 18주년기념, 평화통일박람회에서 판문점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이 도보다리를 걷는 이미지의 대형 현수막을 설치하는 모습. ⓒ정상윤 기자
    ▲ 대학생겨레하나 회원들이 2018년 6월 15일 서울광장에서 열린 6.15 18주년기념, 평화통일박람회에서 판문점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이 도보다리를 걷는 이미지의 대형 현수막을 설치하는 모습. ⓒ정상윤 기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시누이 김모 씨와 과거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정의연 전신)의 핵심간부 출신 A씨가 참여한 친북단체의 대북사업 회계가 부실 투성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간 수억원의 기부금을 북한에 지원했다"면서 사용처나 수혜 인원, 사업명 등을 정확하게 밝히지 않았고, 지자체 보조금 기록도 누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묻지마 대북지원'을 한 셈인데도 이 단체의 회계부실 등을 관리감독하는 통일부와 국세청은 관련 자료 공개를 거부했다.

    7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김모 씨와 A씨는 2008~10년 3년간 사단법인 겨레하나 산하 '북녘어린이를위한콩우유사업본부(이하 콩우유사업)'에서 각각 사무국장과 집행위원장으로 활동했다. 

    김씨는 정의연 회계부정 논란의 핵심인물인 윤미향 민주당 의원의 남편 김삼석 수원시민신문 대표의 여동생이다. 이들 김씨 남매는 1992년 일명 '남매간첩단' 사건에 연루돼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다. A씨는 정대협 대외협력위원장 출신으로, 정대협 초기부터 실무를 맡아 조직의 기반을 만든 핵심인물로 알려졌다.

    윤미향 시누이, 겨레하나 콩우유사업 주도… 14년간 260억 지원

    이들이 주도한 '콩우유사업'은 북한 어린이들에게 영양빵과 항생제 같은 물자를 직접 지원하는 사업으로, 겨레하나의 대표적 대북지원사업이다. 2005년부터 진행된 콩우유사업은 평양 내 유치원과 탁아소에 콩우유 생산설비와 재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겨레하나 측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북한에 지원했다고 밝힌 사업규모는 2004년부터 2018년까지 14년간 260억원가량이다. 하지만 수백억원에 이르는 지원금의 출처나 사용내역 등은 어디에서도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이 단체가 국세청에 공시한 일부 사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지가 국세청 공익법인 결산서류 공시를 확인한 결과, 겨레하나는 2014~15년 2년간 약 18억원을 모금해 15억여 원을 대북지원 및 운영비로 사용했다. 북한에 직접 목적사업비로 썼다고 공시한 금액은 4억7000여 만원이다.

    문제는 북한에 지원했다고 밝힌 금액이 실질적으로 어디에 사용됐는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겨레하나 측은 국세청 공시에서 2014년과 2015년 2년간 지출한 15억여 원의 대북지원비 용처를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 매달 수천만 원 이상의 기부금을 지출했다고 공시하면서 지급처는 한 건도 적지 않은 것이다. 다만, 지급목적 항목에 '대북지원 및 운영'이라고만 일괄 기입했다.
  • ▲ 겨레하나 2014~2015년 기부금 지출 내역 관련 국세청 공시 자료. ⓒ국세청
    ▲ 겨레하나 2014~2015년 기부금 지출 내역 관련 국세청 공시 자료. ⓒ국세청
    수혜인원도 '비상식적'이다. 겨레하나는 2014~2015년 2년간 국외(북한)사업 기부금 지출명세서의 월별 항목 전체에 지급건수를 1명이라고 적었다. 연간 수혜인원도 단 1명뿐이었다. 정의연이 수혜인원을 99명, 999명으로 기입했던 것과 유사하다는 게 회계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자체 보조금 400만원 내역도 안 밝혀

    더구나 해당 공시자료가 사실이라면, 겨레하나는 북한에 있는 누구인지 알 수 없는 '1명'에게 연간 7억원이 넘는 후원금을 사용한 셈이 된다. 특히 이 단체는 2015년 국세청 공시에는 과거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400만원의 지자체 보조금 내역도 기입하지 않았다.

    겨레하나가 공식 홈페이지와 블로그 등을 통해 공개한 2014년과 2015년 국외활동상을 보면, 대북지원을 위한 구체적 활동 내역도 찾기 어려웠다. 이 단체가 매년 7억원가량의 돈을 실질적으로 대북사업에 썼는지 합리적 의심이 드는 이유다.

    겨레하나 측에 따르면, 2014년 국외사업으로 2월 '2·8 조선청년독립선언 95주년 맞이 대학생 도쿄원정대'를 파견, 일본의 역사왜곡 등을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같은 해 상반기에는 '북녘 평화비료 보내기 사업' 명목으로 북한의 산림녹화를 위한 양묘장 시설과 물품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다만 이 사업이 계획대로 이뤄졌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2015년 10월과 12월에는 북한 민족화해협의회의와 사업 협의를 위해 북한을 방문했다고 했다. 이외에도 국내·외 여행사업 등을 진행했지만, 북한 지원사업이라고 분류하기에는 어려운 항목들이었다.

    겨레하나 측은 '회계부실'과 관련, 총회를 통해 회원들에게 사업계획을 모두 밝혔고 회계감사도 받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겨레하나 관계자는 본지에 "모든 사업은 운영위원회와 이사회, 총회를 통해 결정된다"며 "재정 역시 해당 부처와 지자체 법규, 운영규칙, 절차에 따라 운영하고, 회원들에게도 정기적으로 보고한다. 아울러 모든 재정내역은 자료와 함께 회계감사를 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겨레하나 "문제 소지 없어"… 전문가 "공익사업 취지 안 맞아"

    하지만 회계전문가들은 비영리단체가 기부금과 지출 내역을 제대로 공시하지 않은 것은 회계부실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민단체 회계에 정통한 현직 회계사는 "해당 단체의 공시자료를 보면, 기부금과 사용처 등의 상세검증이 불가능하다"며 "이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 규정한 결산서류 작성 방식에도 어긋난 불성실 공시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 회계사는 "단순 작성 오류라 하더라도 회계자료가 부실하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회계전문가는 "현재 나와 있는 겨레하나 공시자료를 봤을 때 이전에도 회계 처리를 매끄럽지 않게 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북한 지원이라는 사업 특성상 수혜인원과 지급처를 특정하기 쉽지 않겠지만, 지출 내역을 공개하지 않으려 하는 건 공익사업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깜깜이 지원을 한 게 아니라면 공개의무를 저버릴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더욱 가관인 것은 이 단체의 관리감독 기관의 행태다. 본지는 이 단체의 주무관청인 통일부에 대북지원 내역을, 국세청에 설립 당시부터 최근까지 '공시자료'를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이에 미래통합당 김기현의원실을 통해 재차 통일부 등에 겨레하나의 대북지원 자료를 요청했지만, 또 다시 거절당했다. 통일부는 "단체 측에서 개인정보 등의 이유로 비공개를 요청했다"고 거절 이유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