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행사' 때 제창 불가되자 野, '협치 불가' 외치며 정부 경고하더니
  • ▲ 2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7주기 추도식이 열린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등이 주먹을 흔들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국민의례에 포함된 애국가 바로 다음 순서로 나란히 불리면서 사실상 동격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2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7주기 추도식이 열린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등이 주먹을 흔들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국민의례에 포함된 애국가 바로 다음 순서로 나란히 불리면서 사실상 동격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지난 주에 있었던 5·18 36주년 기념식 기간 내내 논란이 됐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23일 울려퍼졌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7주기 추도식이 열린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을 비롯한 야권 참석자들은 이날 추도식에 총집결했다. 

    더민주에서는 김종인 대표와 우상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90여 명이 당선인들과 문재인 전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인 김홍걸 전 국민통합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국민의당에선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 등이 참석했다. 

    반면 더민주 손학규 전 상임고문과 박원순 서울시장, 국민의당 정동영 당선인 등은 불참했다. 

    행사 시작과 함께 애국가 제창은 1절 만에 끝났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행사에서는 애국가를 4절까지 제창했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대신 곧바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이어졌다. 

    문재인 전 대표는 꽉 쥔 주먹을 흔들며 열창했고 더민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권 참석자들도 자리에서 일어나 제창했다. 반면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자리에서 일어났지만 따라부르지 않으면서 대조되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국가기념행사가 아니니 따지자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는 주최 측의 뜻대로 진행하면 되는 부분이다. 하지만 애초에 '임을 위한 행진곡'이 국민의례의 식순으로 당연히 포함되는 애국가와 동렬(同列)에서 불릴 만한 곡인지는 의문이 드는 부분이라는 지적이다. 

    주최 측인 노무현 재단은 이날 국민의례의 '애국가'에 이어 곧바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도록 하면서 사실상 이 곡을 '애국가'와 동격화시켰다. 사회자도 애초에 순서에 앞서 "애국가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도록 하겠다"고 안내했다. 애국가는 1절로 축약한 점을 고려하면 '임을 위한 행진곡'을 애국가보다 상위에 올려둔 것 아닌가는 해석도 낳는다. 

    지난 5·18 행사에서도 '임을 위한 행진곡'은 행사 시작 전 국민의례 때가 아닌 마지막에 합창으로 진행됐다. 당시 더민주와 국민의당은 합창 때 모두 기립해 태극기를 흔들며 '셀프 제창'으로 응수했다. 

    지난 18일 박원순 서울시장도 시청광장에서 열린 5.18 기념식에서 광주정신이 흔들리고 있다며 '임을 위한 행진곡'조차 부를 수 없는 현실에 '저항하고 분노하라'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일으키기도 했다.

    한편 '임을 위한 행진곡'은 지난 2014년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해산된 통합진보당이 애국가 대신 제창하면서 순수한 민중가요보다는 정치적, 이념적 색채가 짙은 혁명가요 및 혁명 행진곡으로 들린다는 지적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