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경제·동행 3682억 원…지역경제활성화, 취약계층 우선 투자안전 예산 1137억 원…전동차 증차 및 노후시설 재투자 등매력 도시 조성에 773억 원…공간혁신·문화시설 등 인프라 혁신
  •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월 30일 민생경제정책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서울시 제공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월 30일 민생경제정책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서울시 제공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高) 장기화'로 인한 서민 경제의 부담을 덜고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강화를 위해 서울시가 올해 1조5000억 원 규모의 추경을 단행한다. 

    서울시는 민생경제 회복과 안전하고 매력적인 도시 조성을 핵심으로 하는 1조5110억 원 규모의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27일 밝혔다. 

    추경예산 규모는 올해 예산 45조7881억 원 대비 3.3%인 1조5110억 원으로 원안대로 통과되면 올해 총 예산은 47조2991억 원이다.

    이번 추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분야는 민생경제·동행 분야로 총 3682억 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청년안심주택 선매입에 680억 원이 편성된다. 청년안심주택 공급 활성화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건설업 등 지원을 위해 주택 매입비 지급 시기를 유연화했다. 

    서울 광역사랑상품권 발행에는 57억 원을 투입한다. 소비심리를 회복시키고 소상공인 매출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서울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500억 원에서 1500억 원으로 늘린다. 

    이 외에도 소상공인 금융지원 114억 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변경 대응 지역상권 지원에 18억 원, 프리랜서 경력관리시스템 구축에 2억 원 등이 포함됐다. 
  • ▲ ⓒ서울시 제공
    ▲ ⓒ서울시 제공
    고물가 시대에 시민 부담을 줄이기 위한  시민 생활 지원 분야에는 1157억원이 책정됐다. 

    시민호응이 높은 기후동행카드에 697억원, 손목닥터 9988는 113억 원을 확대 편성했다. 또 새벽동행 자율버스 운행에 11억원, 공공예식장 종합지원 22억원, 35세 이상 임산부 의료비 지원에 80억원, 정·난관 복원 시술비 지원 1억원 등을 지원한다. 

    장애인, 어르신, 결식 우려 아동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서는 1474억원을 투입한다. 시립 공공병원 지원 456억원을 비롯해 장애인 버스 요금 지원에 94억원, 경로당 중식 제공 확대 48억원, 결식 우려 아동 급식단가 인상에 34억원 등을 책정했다. 

    안전망 구축 예산으로는 총 1137원이 반영됐다. 4·7·9호선 지하철 혼잡도가 낮추기 위해 전동차 증차에 178억원, 지하철 1~4호선 노후시설 재투자에 206억원,  하수관로 정비에 347억원 등 쓰인다. 
  • 서울을 매력 있는 글로벌 도시로 만들기 위한 도시공간 혁신, 문화시설 확충 등에 773억원을 편성했다. 국회대로 지하차도와 상부공원화에 137억원, 서서울 미술관 건립에 41억원, 시청역 지하공간 기반시설 조성에 38억원 등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시민의 발인 대중교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시내버스와 지하철, 경전철 재정지원에 897억원이 쓰인다. 시는 시내버스 운영적자 보전을 위해 700억원을 추가 지원하고, 경전철 등 안전 운행에 필요한 안전요원 추가 배치를 위해 신림선 42억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김태균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추경은 장기화된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소상공인, 중소기업 등 민생경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빠르게 시행하는 데 중점을 뒀다"며 "6월 시의회에서 의결되면 서민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해 신속히 집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