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KBS공영노조 "김의철 사장 해임은 사필귀정… 나머지 임원들도 물러나야"

'편파방송' '무능경영' 논란으로 불명예 하차전 경영진이 남겨놓은 KBS 당면 과제 '산적'수신료 파동으로 '임금삭감' '구조조정' 전망김의철 사장뿐 아니라 타임원들도 책임져야

입력 2023-09-13 18:37 수정 2023-09-13 18:37

▲ 김의철 전 KBS 사장. ⓒ뉴시스

지난 12일 김의철 KBS 사장이 '무능경영' 등의 사유로 해임된 것을 두고 KBS 내부에서 "사필귀정"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이날 김 전 사장을 겨냥한 비판 성명을 배포한 KBS공영노동조합은 "김의철 전 사장은 2017년 불법파업의 선봉에 서서 보도본부장이 됐고, 이후 김덕재 현 부사장과 함께 '진실과미래위원회(진미위)' 위원이 돼 '적폐청산'의 이름으로 사내 보복에 앞장섰다"고 되짚었다.

KBS공영노조는 "김 전 사장은 특정 정치세력에 줄을 선 불공정·편파·왜곡방송과 부실재난보도의 상징으로 그 악명을 떨친 후 KBS비즈니스 사장을 거쳐 KBS 사장 자리까지 꿰찬 자"라며 "그렇다면 경영이라도 잘 해야 했는데, 그는 오히려 불공정·편파방송을 더욱 심화시켰다"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이제야 겨우 밝혀지기 시작했지만 지난 대선 직전 소위 '윤석열 커피' 가짜뉴스를 퍼뜨려 대선 결과까지 바꾸려 한 희대의 국기문란 선거부정에 공영방송 KBS를 적극 가담케 한 엄중한 책임도 있다"고 지적한 KBS공영노조는 "결국 KBS는 국민에게 철저히 외면 받았고 작금의 수신료 위기가 촉발됐다"고 분석했다.

KBS공영노조는 "김 전 사장은 또한 유례없는 '무능'으로 타 지상파가 흑자를 내는 와중에도 연속적자를 기록한 KBS 사상 최악의 사장이었다"며 "특정 그룹과 밀착한 '돌려막기 인사'로 회사 전체에 무기력과 안일이 판치게 한 장본인이었다"고도 비판했다.

"그 뿐인가? 자신의 자리와 수신료를 맞바꾸자는 식의 어이없는 기자회견으로 KBS의 존립을 최대의 위기로 몰아넣었다"고 김 전 사장의 최근 행동을 맹비난한 KBS공영노조는 "그는 직원들의 사퇴요구가 빗발쳤음에도 자리만 움켜쥐고 앉아 뜬금없는 조직개편, CI교체 시도나 하면서 공사의 재정과 회생의 기회비용을 날려먹은 자"라며 "정말 그 죄상을 하루 종일 나열해도 부족할 정도로 KBS에 해악만 끼치더니 이제야 겨우 해임이 된 것이다. 만시지탄이지만 사필귀정이 아닐 수 없다"고 평가했다.

KBS공영노조는 "하지만 전 경영진이 KBS에 남겨놓은 냄새나는 오물의 후과는 이제 남은 자들이 온전히 감당해야 할 몫이 돼버렸다"며 "당장 금년 적자만 1000억원이 넘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에다 수신료 감소까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고 시급한 당면 과제들을 열거했다.

"매월 500억원 이상 들어오던 수신료가 7월엔 7억원이 감소하더니 8월에는 22억원이 감소해 그 감소 폭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며 "추석이 지나면 그 수신료 감소 폭을 피부로 느낄 정도가 될 것"이라고 우려한 KBS공영노조는 "이제 우리에게 남은 것은 차기 사장 하에서의 대규모 임금삭감과 구조조정"이라고 예상했다.

KBS공영노조는 "2TV 재허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만약 재허가가 무산된다면 1조5천억원이 넘던 KBS의 수입은 0원에 수렴할 수밖에 없다"고 문제의 심각성을 짚었다.

KBS노조는 "남은 직원들이야 어떻게 되건 말건, 자신은 해임무효소송으로 봉급이나 더 챙기고, 편파보도에 매진한 공로(?)로 어디 자리하나라도 꿰찰 욕심이겠지만, 당신의 넘쳐나는 '죄과'는 남은 직원들이 지구 끝까지라도 쫓아가 그 책임을 묻고야 말 것"이라며 "나머지 임원들 역시, 조금이라도 양심이 남아있다면 더 이상 KBS를 망치지 말고 당장 KBS를 떠나는 것만이 국민과 남은 직원들에게 조금이나마 속죄하는 길일 것"이라고 충고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