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의회 대표위, 포스코·토탈·페트로나스 지목…앰네스티 “여러 한국기업, 군부와 합작사업”
  • ▲ 국제 앰네스티가 지난해 9월 공개한 미얀마 군부와 합작사업체를 설립한 외국기업들.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 캡쳐.
    ▲ 국제 앰네스티가 지난해 9월 공개한 미얀마 군부와 합작사업체를 설립한 외국기업들. ⓒ국제 앰네스티 보고서 캡쳐.
    미얀마의 반쿠데타 진영이 “한국과 프랑스 등 외국기업들은 군부와의 합작사업을 중단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인권단체 ‘국제 앰네스티’가 지난해 9월에 펴낸 미얀마 군부와 합작 사업을 벌였던 한국기업들도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미얀마 연방의회 대표위 “한국·프랑스·태국 등 외국기업들, 군부에 돈 주지 말라”

    미얀마 영자매체 <이라와디>는 지난 18일 “미얀마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가 임명한 틴 툰 나잉 기획·재정·산업부 장관 대행이 최근 한국 포스코 인터내셔널과 프랑스 토탈, 태국 PTT,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등 외국 석유기업들에 국영석유가스기업(MOGE)과의 합작사업을 당장 중단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고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CRPH는 “해당 외국기업들은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지난 9일까지 이들 업체에 군부에 대한 제재를 촉구하는 시한을 제시했음에도 석유·가스 대금을 지불하며 군부의 독재를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가 업무를 재개할 때까지는 석유·가스 대금을 지불하지 말라”며 “미얀마 에너지 사업의 모든 이해 당사자는 민주주의 달성을 위해 즉시 협력해야 한다”고 CRPH는 촉구했다.

    틴 툰 나잉 장관 대행도 “외국 기업들이 석유·가스 대금을 군부에 계속 지불한다면 이는 인권침해에 쓰일 수 있다”며 “미얀마 국민의 민주주의 복원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행동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뉴시스>에 따르면, 한국·말레이시아·태국 석유기업이 2018년 미얀마 측에 지불한 석유·가스 대금은 4억4300만 달러(약 5010억원), 송유관 이용로는 3억 달러(약 3390억원)에 이른다.
  • ▲ LH의 해외사업 현황도. LH도 미얀마에서 공단조성사업을 벌이고 있다. ⓒLH 홈페이지 캡쳐.
    ▲ LH의 해외사업 현황도. LH도 미얀마에서 공단조성사업을 벌이고 있다. ⓒLH 홈페이지 캡쳐.
    국제 앰네스티 “여러 한국기업, 미얀마 군부와 합작사업”

    <포항MBC>는 지난 18일 국제 앰네스티가 2020년 9월에 내놓은 보고서를 인용해 “포스코가 쿠데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와 합작사업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인용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미얀마 군부와 합작사업을 하는 한국기업은 3곳이다.

    포스코는 MOGE와의 석유·가스 사업뿐만 아니라 군부가 대주주인 MEHL(미얀마 경제지주사)과 ‘미얀마 포스코 C&C’, ‘미얀마 포스코 스틸’이라는 합작업체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팬퍼시픽’은 ‘미얀마-와이즈-패시픽 어패럴’이라는 의류제조업체를, 이노그룹은 ‘한따와디 C.C’와 ‘미얀마 이노라인’, ‘미얀마 이노 인터내셔널’이라는 합작 업체를 운영하고 있다고 국제 앰네스티는 지적했다.

    해당 기업들은 지난 2월 <연합뉴스> 등 국내 언론들에 “미얀마 군부와 직접 연관은 없다”는 해명을 내놨다. ‘팬퍼시픽’은 “국제 앰네스티 조사 보고서와 유엔 미얀마 진상조사단의 보고를 본 뒤 사업을 종결했다”고 밝혔다. 반면 포스코 등은 합작사업을 종결하지 않았다. 포스코 측은 “해당 업체들은 2017년 사업성과로 마지막 배당금을 지급한 뒤 MEHL에 돈을 준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이노그룹 또한 “MEHL에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았다”며 “미얀마 내 인권침해와 합작기업은 직접적 연관성이 없다”고 밝혔다.

    최근 물의를 빚은 LH도 미얀마에 진출해 있다. LH는 2019년 9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미얀마 양곤에 ‘경제협력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다고 홈페이지에 밝혔다. 이 사업은 LH가 40%, 미얀마 건설부가 40%, 글로벌 세아가 20%를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