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한국계 학생들 반학문적 망동에 경악… 상아탑은 사회적 터부도 논의할 수 있어야"
  • ▲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 모습. ⓒ뉴시스
    ▲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 모습. ⓒ뉴시스
    '위안부 성노예설'을 부인한 존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이 파장을 일으키는 가운데, 램자이어 교수에 대한 '마녀사냥'을 규탄하는 성명이 국내 우파 진영에서 나왔다. 

    성명은 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이자 '반일종족주의' 저자인 이영훈 이승만학당 교장을 비롯해 학자‧법률가 등 15인의 연명 형식으로 발표됐다. 지난 9일 발표된 이 성명은 "램자이어 교수의 위안부 문제를 다룬 '태평양전쟁 당시 성(性)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 제하 논문을 둘러싸고 국내 언론이 또 한번 마녀사냥을 벌이고 있다"고 규탄했다.

    "학문의 외부세력이 정당한 논문을 망언으로 매도"

    성명은 "(미국) 현지에서 하버드대 한국인 유학생회라는 이름으로 램자이어 교수를 비난하고 그의 사과와 논문 철회를 요구하며 연판장을 돌리는 일이 벌어지고, 국내 언론은 이를 중계방송 하듯 전하며 램자이어 교수의 학술논문을 '망언'으로 매도하고 있다"며 "국제 학계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문의 독창성을 인정받고 나아가서 논쟁의 대상이 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은 사안에 대해서, 왜 학문과는 무관한 외부세력이 망언 운운하며 토론 자체를 막으려고 하는 것인가"라고 질타했다.

    성명은 또 "국내 언론의 호들갑과는 달리,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은 실은 '위안부=매춘부'를 입증하고자 하는 내용의 논문이 아니다"라며 "논문은 성노예설의 시각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위안소 업주와 위안부 간의 독특한 계약형태 및 계약조건을 게임이론의 '신뢰할만한 서약(credible commitments)' 개념으로 설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상아탑은 사회적 금기에 대해서도 토론할 수 있어야"

    성명은 그러면서 "램자이어 교수 논문의 논증이 과연 철저하였는지, 또는 그 어떤 학문적 결함이 있는지는 후속논문과 관련 학술토론을 통해 앞으로 차근차근 가려질 것"이라며 "상아탑은 사회와는 일정 부분 독립되어 '위안부 문제'처럼 사회가 터부시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 도 치열한 토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명은 "그런 점에서 우리는… 하버드 한국계 학생들을 중심으로 램자이어 교수의 사과와 학술지 측에 느닷없이 논문철회부터 요구하고 나선 반학문적 망동에 특히 경악하며, 마치 중국의 '문화대혁명'을 연상시키는 이러한 행태에 대해서만큼은 굳이 지목해서 비판을 하지 않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다"고 개탄했다.

    "하버드 한국계 학생들의 반학문적 망동… 경악스럽다"

    성명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토론 자체를 막아온 국내 분위기가 외국의 동향과 괴리된 상태라는 점도 지적했다. 

    성명은 "국제 학계에서는 그동안 위안부 문제와 관련 '강제연행'이 있었는지 없었는지 또는 '성노예' 개념이 적절한지 적절하지 않은지 근본적인 쟁점에 대해서까지도 찬반의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다"며 "오직 국내에서만 학문과는 무관하거나 거리가 있는 운동단체와 시민단체, 그리고 학술적 깊이 없이 일방적인 주장을 추수한 국제기구의 경직된 입장만이 주요한 권위가 되어 아예 이 문제에 대한 토론 자체를 가로막아 온 것이 어언 십 수년째"라고 지탄했다. 

    성명은 램자이어 교수의 논문에 대한 논란을 위안부 문제에 대한 본격적 토론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성명은 "일본군 위안부 성노예설이 무오류의 신성불가침 영역일 수는 없다"며 "관련 토론이 대한민국에는 더더욱 요구되는 의무"라고 강조했다.  

    [연명인] 이영훈(이승만학당 교장), 정규재(부산시장 자유연합당 예비후보), 김대호(서울시장 자유연합당 예비후보), 주동식(지역평등시민연대 대표), 한민호(공자학원 실체알리기 운동본부 대표), 류석춘(전 연세대 교수), 주익종(이승만학당 교사), 정안기(전 고려대 연구교수), 이우연(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김병헌(국사교과서연구소장), 최덕효(한국인권뉴스 대표), 황의원(미디어워치 대표), 김기수(자유와 통일을 향한 변호사연대 공동대표, 변호사), 이동환(한반도의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 충청지부장, 변호사), 김소연(한반도의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 대전지부장, 변호사) 등 1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