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경기·인천 7000여 학교 등교수업 재개… 등교인원 제한에도 학생·학부모 불안감 확산
  • ▲ 수도권 유치원·초·중·고등학교 등교수업이 재개된 21일 오전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권창회 기자
    ▲ 수도권 유치원·초·중·고등학교 등교수업이 재개된 21일 오전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권창회 기자
    우한코로나(코로나19) 재확산 여파로 지난달 26일부터 닫혔던 수도권의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교문이 21일 다시 열렸다. 고3 학생을 제외한 모든 학교의 전면 원격수업이 시행된 지 한 달여 만이다. 

    교육당국은 밀집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등교인원에 제한을 뒀지만, '깜깜이 전파' 위험이 여전해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커졌다. 세밀한 대책 없이 상황에 따라 교육당국이 학교 문 닫기만 반복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등교수업을 재개한 학교는 서울 2013개교, 인천 790개교, 경기 4163개교 등 총 7000여 곳이다. 다만 교내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학생들은 격주로 등교하거나 일주일에 1~2회 등교할 전망이다. 유·초·중학교의 등교인원은 전체 학생의 3분의 1 이내, 고등학교는 3분의 2 이내로 제한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날 서울 강동구 한산초등학교를 방문해 "학교현장과 긴밀하게 소통해 학교 선생님들이 부담을 덜고 아이들이 가장 안전하고 바람직한 교육 시스템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유·초·중학교 '3분의 1', 고교 '3분의 2' 등교수업 

    이 같은 밀집도 최소화 조치에도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급격한 코로나19 확산세는 꺾였지만,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이른바 '깜깜이 확진자' 비율이 누그러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0명으로 전날(82명)에 이어 이틀 연속 두 자릿수를 유지했다. 다만 중대본이 분석한 최근 2주간 코로나19 감염경로를 살펴보면 지난 6일 이후부터 19일 0시까지 2주간 신고된 확진자 1883명 중 530명(28.1%)의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상태다. 

    인천시 부평구에 거주하는 고3 박모 양은 "쉬는 시간과 급식시간에는 마스크를 벗고 여럿이 모여 이야기를 해 감염위험이 높다"며 "중요한 대입 준비 시기지만, 학교에서 감염되면 친구들 모두에게 피해를 끼칠 수 있다는 게 더 아찔하다"고 우려했다.  

    초등학교 2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 이모 씨는 "깜깜이 확진자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지금 등교수업을 진행하는 게 과연 큰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확실한 안정세를 보이지 않았는데 등교수업을 확대한 것은 섣부른 판단으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섣부르다"vs"미룰 수 없다"… "세밀한 대책 없는 교육부 문제" 

    반면 학습격차, 돌봄문제 등을 이유로 등교수업 시기를 무작정 미룰 수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유치원생 자녀를 둔 학부모 김모 씨는 "코로나19가 언제 잠잠해질지 모르는데 계속 원격수업만 하다 보면 아이의 학습수준이 떨어지고 다른 아이들과의 학력격차도 크게 벌어질 것 같다"며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기회도 적어져 걱정"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교육당국이 세밀한 대책 없이 상황에 따라 학교 문 닫기만 반복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날 다시 시작된 등교수업은 다음달 11일까지 이어진다. 12일 이후의 학사운영계획은 추석 이후 감염병 확산 추이를 보며 교육부가 방역당국과 협의해 추후 결정하기로 했다. 감염병 상황에 따라 학교 문이 또 다시 닫힐 수 있는 얘기다. 

    박소영 교육바로세우기운동본부 대표는 "학교가 고정적으로 정상수업을 진행할 수 있게끔 교육당국이 처음부터 제대로 된 방역지침을 세웠어야 한다"며 "1학기 이후부터 지금까지 수개월간 교육부가 한 것이 도대체 뭐냐"고 꼬집었다. 

    박 대표는 "수시로 학교를 갔다가 안 가고, 한 번 갔다 두 번 가는 식으로만 지침이 바뀐다"며 "교육부가 정부 분위기에 따라 오락가락 일관성 없는 지침만 내놓다 보니 아이들은 학습권을 침해받고, 학부모와 교사 등 현장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고 질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