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초미세먼지 '미국 기준' 적용하니… '공기 안전지대' 전국에 한 곳도 없다

입력 2019-11-12 15:00 수정 2019-11-12 16:56

정부가 미국·일본 등 해외 환경기준을 적용해 초미세먼지를 측정한 결과, 전국에서 환경기준을 만족시킨 곳이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결과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최근 발간한 '대기환경연보 2018'을 분석한 것이다. 문화일보는 12일 이 자료의 분석 결과를 보도했다. 기사에 따르면, 지난해 지름 2.5㎍ 이하인 초미세먼지 유효측정소 283곳 중 일평균 환경기준인 35㎍/㎥ 이하를 기록한 측정소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1년 중 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날수가 4일 이하인 측정소를 전국 측정소 수로 나눈 값을 환경기준 달성률로 표기한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초미세먼지 오염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유효측정소는 전국 도시지역과 도로변 등에 283개가 설치돼 있다. 

'WHO 수준' 적용하면 이보다 더 낮아질 듯

정부는 지난해 3월 미국·일본의 환경기준에 맞춰 기준 수치를 50㎍/㎥에서 35㎍/㎥로 낮췄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 수준은 이보다 더 낮은 25㎍/㎥다. 미세먼지 농도 기준을 WHO 수준으로 한층 더 강화하면 미세먼지 감축 성공률이 앞으로도 상당기간 0%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일보는 이 같은 소식을 전하며 "지난해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13.3㎍/㎥, 프랑스 파리 14㎍/㎥, 영국 런던 10㎍/㎥인 반면, 서울은 23㎍/㎥로 2배가량 높았다"면서 "초미세먼지 안전지역은 '제로(0)'라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공식적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초미세먼지의 70%가량은 중국에서 유입되는 '중국산'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한국이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하라"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그런데도 문재인 정부는 중국에 제대로 항의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전·충청·세종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특종

미디어비평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