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조국 반대를 내란 선동으로 몰아… 한줌 친문이 '해방정국' 만들어" 입장문
  • ▲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데일리DB
    ▲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데일리DB
    '광화문'과 '서초동'으로 극명하게 갈린 민심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국론 분열이 아니다"라고 평가하자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대통령이길 포기했나"라며 비판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도 "유체이탈식 화법"이라며 대통령을 공격했다. 

    황 대표는 8일 '대한민국 대통령이길 포기한 것인가'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대통령의 굴절된 상황인식과 국민 무시에 실망과 개탄을 금할 길 없다"고 비난했다. 

    "분열 아니다? 대통령의 인지부조화"

    황 대표는 "어제 문 대통령의 수보회의 발언은 '혹시나' 했던 국민의 기대를 여지없이 뭉개고 짓밟은 '역시나'였다"며 "국론 분열이 아니라는 것은 대통령의 인지부조화다. 절대다수 국민에 맞서 대한민국을 70년 전의 해방정국으로 돌려놓은 장본인은 바로 대통령과 한 줌 친문세력이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어 "문 대통령이 '국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었다'고 했는데, 거짓말"이라며 "조국을 반대하는 외침을 '내란선동'으로 몰아 편을 가르고, 친문 수장을 자임하는 대통령을 보며 국민이 절망하고 있다"고 조목조목 따졌다.

    황 대표는 문 대통령의 "대의정치가 충분히 민의를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이 들 때 국민이 직접 의사표시를 하는 것은 직접민주주의 행위로서 긍정적 측면도 있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마이웨이 선언"이라며 "국회를 외면하고, 야당을 무시하고, 대의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파괴하면서 독재의 길을 가겠다는 것이 아닌가"라고 추궁했다.

    이어 황 대표는 "민생 회복, 정치 복원, 국론 통합의 출발점은 바로 '조국 파면'"이라며 "문 대통령이 친문 수장에 머물며 국민과 싸우려 한다면, 그 길이 바로 정권 몰락의 길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바른미래도 "文, 나 몰라라, 국민들 싸움만 부추겨"

    이에 앞서 나 원내대표도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문 대통령의 발언을 공개 비판했다. "상식과 양심의 분열, 유체이탈식 화법"이라는 것이다.

    나 원내대표는 "대통령이 끝 모를 오기와 집착으로 국론 분열과 깊은 대립의 골을 만들어내고 있다"며 "국민의 소중한 시간과 비용 들이지 않아도 되게 문 대통령이 조국 파면을 결단하면 된다. 대통령의 책임 회피로 온 나라를 아수라장으로 만들고 직접민주주의로 포장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바른미래당도 문 대통령에 대한 비판에 가세했다. 이동섭 바른미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특유의 유체이탈 화법을 구사했다"며 "정치가 거리로 나서면서 법치와 민주주의가 위협받고 있는데도 (문 대통령은) 나 몰라라, 국민들 싸움만 부추기고 있다"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문제를 절차에 따라 해결할 수 있게 지혜를 모아 달라' '국회는 공수처법과 검·경 수사권조정 법안을 신속히 처리해 달라'는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서는 "문제 해결에 가장 앞장서야 할 대통령이 어떻게 하겠다는 말씀은 없고 온통 요구사항뿐"이라고 비난했다.

    문, 수석·보좌관회의서 "국론 분열 아니다"

    전날(7일) 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조국 찬반 집회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문 대통령은 "최근 표출된 국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엄중한 마음으로 들었다"며 "다양한 의견 속에서도 하나로 모아지는 국민의 뜻은 검찰의 정치적 중립 보장 못지않게 검찰개혁이 시급하고 절실하다는 것이다. 정부와 국회 모두 이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정치적 사안에 대해 국민의 의견이 나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이를 국론 분열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특히 대의정치가 충분히 민의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 때 국민들이 직접 의사표시를 하는 것은 대의민주주의를 보완하는 직접민주주의 행위로서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