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 못 들어오게 일부 언론 막아"… '받아쓰기 기자들' 문제점도 지적
  • ▲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뉴시스.
    ▲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뉴시스.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일본의 언론자유 실태를 비판했다.

    뉴욕타임스는 5일(현지시간) '이 기자는 질문을 많이 한다. 이 점은 그를 특이하게 만든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일본은 언론의 자유가 헌법에 명시된 현대 민주주의 국가이지만, 일본 정부는 때로는 독재국가를 연상시키는 행태를 보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인을 기자회견에 못 들어오게 막거나 기자들을 통제하기 위해 정치인들과 언론사 간부들 사이의 사교관계를 이용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쿄신문>의 모치즈키 이소코 기자의 사례를 들었다. 43세인 모치즈키 기자는 아직 대형 정치적 스캔들이나 부정부패사건을 폭로한 경험은 없지만 질문을 상당히 많이 하는 기자로 유명하다. 다른 기자들이 단순히 발표하는 내용을 받아적기를 많이 하는 반면, 그는 정치인이나 관료들을 대상으로 끈질기고 집요하게 질문한다. 그는 "정부는 항상 국민들로부터 정보를 감추려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기자들은 그 내용을 밝혀내야 한다"는 소신을 가졌다.

    신문은 이러한 그의 성향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며, 한 번은 그가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에게 북한 관련 질문을 하자 "나는 당신의 질문에 답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고 단상에서 내려간 일화도 소개했다.

    또한, 지난해 12월 그가 스가 관방장관에게 미군이 주둔한 오키나와의 군 관련 건설 프로젝트에 관해 질문했을 때 한 정부 관계자는 기자단에 모치즈키 기자가 틀린 내용들을 질문한다는 내용의 메모를 보냈다고 한다.

    이런 조치들과 관련, 도쿄신문은 지난 2월 "권력은 기자들이 질문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어떤 질문을 하도록 규정할 수 없다"는 내용의 전면사설을 실었다.

    또한 지난 3월에는 600여 명의 시민이 모치즈키를 지지하며 총리실 앞에서 진실을 위해 싸울 것을 호소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신문은 일본 언론계의 이 같은 상황의 이면에는 '기자단' 제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기자들이 기자단에서 배제되거나 정보를 얻을 특권을 잃게 될까 염려해 당국자와 대립하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사례로, 지난 봄 한 브리핑에서 어떤 기자는 스가 관방장관에게 질문할 기회를 부여받고도 이를 정부가 야구선수 이치로의 은퇴 때 특별한 상을 줄 계획인지 묻는 데 사용했다고 밝혔다.

    NHK의 전직 PD인 나가타 고조 무사시대학교 교수는 "일본에는 현재 벌어지는 알려지지 않은 사건들이 많이 있으며, 기자들은 이에 대해 질문하며 강하게 파고들어야 한다"고 지적하며 "하지만 일본 언론은 그것을 제대로 하지 못하며 병든 상태"라고 지적했다.

    '국경 없는 기자회', "아베 정부 하에서 언론자유 퇴보"

    일본의 언론자유 실태는 국제적으로 주목받았다. '국경 없는 기자회(RSF)'는 2012년 아베 신조 정권이 출범한 이래 일본의 언론자유 상황이 악화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자단' 제도로 프리랜서 기자와 외신기자들이 계속 차별받으며, 후쿠시마 원전 사고나 오키나와 미군 주둔 문제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기자들은 SNS 상에서 비난받는 등 곤란한 일을 겪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 단체에서 해마다 발표하는 '세계언론자유지수(World Press Freedom Index)' 상으로도 일본은 2013년 53위에서 2016년과 2017년 72위까지 떨어졌다 지난해와 올해 현재까지 67위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