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린성 윈펑댐 인근에 구축 예정… 탈북자 포착·추적 용이해져
  • ▲ 중국 화웨이의 5G 통신망 선전물. 중국은 전 인구를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화웨이의 5G 통신망 선전물. 중국은 전 인구를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이 5G(5세대)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검문소를 북한과 국경지역에 건설할 계획이라고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지난 8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은 지린성 퉁화지역 윈펑댐 인근 검문소에 5G 통신망을 이용한 보안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 지역은 북한 운봉저수지와 가깝다. 5G 통신망 검문소가 지어지는 곳은 산악지대이면서 주요 도로들이 통과해 탈북자들이 많이 넘어오는 곳이다. SCMP는 “이 지역으로 넘어오는 탈북자 가운데 다수가 총을 갖고 있어 국경경비대가 단속에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에는 대북제재가 장기화하면서 식량과 생필품을 구하려는 북한주민의 불법거래가 성행한다”고 보도했다.

    SCMP는 5G 통신망을 사용하면 드론이나 증강현실을 활용한 국경감시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현실은 이들의 전망보다 더욱 강력한 보안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중국 공안은 현재 ‘쉐량공정’이라는 체계를 운영 중이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실시간 영상통신 및 안면인식과 분석기술을 활용한 사회감시 체계다. 중국 공안은 이 ‘쉐량공정’을 사용해 수만 명이 모인 콘서트장에서 수배범을 잡아내고, 특정지역을 통과하는 사람이 중국인인지 외국인인지까지 구별해 낸다. 수배자가 도망치는 것도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ATM 기기, 웨어러블 기기에 있는 카메라까지 공안당국이 운영자 권한을 갖고 사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한다.

    이런 사회감시체계가 5G 통신망과 이어질 경우 중국과 북한 국경은 막힌다. 이런 체계는 대량난민을 막는 용도는 아니다. 대량난민은 강력한 물리적 장벽이 아니면 막을 수 없다. 반면 적은 인원이 몰래 국경을 넘는 탈북자들은 쉽게 잡을 수 있다. 얼굴이 찍힌 탈북자는 중국 어디를 가더라도 발각될 수밖에 없다. 5G 통신망까지 더해지면 실시간 추적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중국당국이 북한과 국경 단속이 가장 시급한 윈펑지역에 5G 통신망 검문소를 시범 설치·운영한 뒤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