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북 2차 정상회담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김정은 조기 방한' 거듭 강조
  • ▲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 (NSC)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국가안전보장회의 (NSC)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북한 김정은의 방한이 2차 미북 정상회담 일정과 연계해 생각할 문제는 아니라고 언급했다.

    한국과 미국 사이에 대북제재 완화와 종전선언 문제를 놓고 이견이 감지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북한 김정은의 연내 방한 추진을 강행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주목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일 오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 김정은의 연내 방한이) 큰 차질 없이 진행된다고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고위관계자는 "김정은의 답방 시기는 열려있다"며 "남북 간의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이어 "하여튼 올해 안에 (북한 김정은의 답방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상황의 진전에 따라 다소 변경이 있을 수 있지만 조기 답방하는 것은 틀림없다. 연내 김정은 위원장이 답방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청와대의 언급은 당초 북한 김정은의 연내 방한 문제가 2차 미북 정상회담과 연계될 수 있다는 그동안의 청와대 안팎의 시각과는 달라진 부분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9월 19일 북한 김정은과 평양공동선언에서 김정은의 연내 서울 방문을 명문화했지만, 같은 선언에서 명기된 철도 연결 문제를 비롯한 각종 사업은 대북제재 문제로 한·미 간 조율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우리 정부의 외교·안보라인을 만난 뒤 '워킹그룹'을 구성키로 한 것도 이같은 움직임의 일환이다.

    우리 정부는 그간 톱-다운 방식을 선호해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종전선언 등을 논의한 뒤 북한 김정은이 방한하는 방안을 염두에 뒀었다. 하지만 미국과 북한이 실무협상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이같은 계획에 차질이 생긴 상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워킹그룹이 남북관계 개선을 미국이 제어하는 장치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그렇게 평가하지 않는다"며 "한반도 비핵화 조기 달성을 위한 한·미 공조 방향을 합의하기 위한 것이고 메커니즘"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사실 이번 실무그룹 결성을 합의한 것도 외교부 측에서 미국 측에 제의를 했던 것이다. 가급적 조속히 가동해 양국 간 공조 방안을 폭넓게 협의하기로 한 것"이라며 한미 공조 이견설에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