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개인 이해관계 얽혀 영남권 현역 지지도 '미지근'
  •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정치생명을 걸었지만 야당이 전략공천 비율을 명기한 혁신안을 통과시키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에 빠졌다. 친박계로 분류되는 서청원 최고위원이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에 정치생명을 걸었지만 야당이 전략공천 비율을 명기한 혁신안을 통과시키면서 현실적인 어려움에 빠졌다. 친박계로 분류되는 서청원 최고위원이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며 김 대표를 압박하면서 총선 공천 주도권 싸움으로까지 비쳐지고 있다. ⓒ뉴데일리 이종현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정치생명을 걸고 추진했던 오픈프라이머리가 난관에 봉착한 가운데, 대안을 놓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플랜B', '제3의길' 등 각종 용어가 난무하는 가운데, 오픈프라이머리의 '역선택'을 잠재울 수 있는 안을 내놓는 쪽이 총선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난 22일 '한국 정당정치의 선진화 토론회'에 참석해 "정치개혁의 가장 좋은 방법은 여야 합의로 공천권을 국민에 돌려주는 것을 법으로 제도화하는 것인데 제1야당의 반대로 안 된다면, 그 정신에 입각해서 새누리당만이라도 계속 도전하겠다"고 밝히며 오픈프라이머리 강행 의지를 밝혔다.

    김 대표는 "일반 상념 상 야당이 여당보다 더 개혁적이라 생각하는데, 막상 야당은 이런 개혁에 동참하지 않고 있다"며 "(야당은 혁신안을 통과시키면서) 전략공천을 20~30% 꼭 하겠다고 하는데, 바꿔 말하면 비민주적 과정에 의한 공천"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당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 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지만 동시에 전략공천을 하겠다는 자당 내의 혁신안이 중앙위를 통과시켰다"며 "매우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김무성 대표가 밝힌 것처럼 오픈프라이머리가 순탄하게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야당이 하지 않는 오픈프라이머리를 할 수는 없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논쟁은 윤상현 청와대 정무특보가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재로서 실현이 거의 불가능하다"며 불가론을 펴면서 촉발됐다.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은 "야당이 혁신안을 통과시키면서 오픈프라이머리 여야 동시 도입이 물 건너 갔다"며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여기에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도 "국민의 뜻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전제로 '제3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가세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는 여전히 위기상태다.

    나아가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23일 "오픈프라이머리와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논의하겠다"며 오는 30일 오후 3시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개최한다는 공고메시지도 보내놓은 상태다.

    총선을 앞두고 당·청간 주도권 싸움까지 비쳐지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오픈프라이머리의 해법은 없을까.

    당초 현역 의원들이 가장 우려하는 오픈프라이머리의 문제는 '역선택'이기 때문에 이를 잘 잠재울 수 있는 적절한 카드를 꺼내는 것이 관건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영남 지역의 한 초선의원 관계자는 "오픈프라이머리가 현역을 위한 제도라는 말들이 많지만 정작 현역 의원들의 분위기는 그렇지 않다"며 "서로 지지세가 비슷한 지역구라면 또 모르겠으되, 여당이 유리한 지역에서는 현역이 경선에서 오히려 불리해 반기지 않는다"고 귀띔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여당세가 두드러진 곳에서는 아무래도 여당 측에서는 저마다 총선 승리를 확신하면서 여러명의 경선 후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에 야당 측에서는 단일후보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 오픈프라이머리에서 '약한 여당 후보'를 의도적으로 밀어주는 행위가 충분히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는 "오픈프라이머리를 시행하는 당일은 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조직의 표가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현역들이) 마냥 찬성할수만은 없다"고 토로했다.

    적절한 카드로 '안심번호'도입이나 전략공천 지역할당, 당원과 일반국민 여론조사 등이 거론되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결정된 것은 없는 상태다.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 주도권을 쥐겠다는 계파간의 입장차이와 지역구의 특징에 따른 의원들 개인의 입장이 각각 미묘하게 달라 쉽게 뜻이 모아지긴 어려워 보인다"면서도 "결국 각 지역구에서 납득할 수 있는 안이 계파를 초월해 채택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