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통일없는 휴전을 반대'하는 이승만 대통령. 미국 여론에 호소하는 성명을 여러차례 발표하여 미국민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 '통일없는 휴전을 반대'하는 이승만 대통령. 미국 여론에 호소하는 성명을 여러차례 발표하여 미국민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미국과 유엔의 어리석음을 한탄

   그러면서도 미국은 중국군의 대규모 개입으로 전쟁을 이길 수 없다고 판단하고 휴전하려 했다. 그리고 휴전을 위해서라면 공산군 측이 원하는 것이면 무엇이든지 들어주려고 했다. 
   그리하여 캐나다의 피어슨을 위원장으로 하는 유엔 휴전 3인위원회가 구성되었다.
공산측이 휴전을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었다. 

   유엔 휴전 3인위원회가 만든 휴전 시안은 1951년 1월 3일에 유엔에 제출되었다.
제안의 골자는 중국과 소련을 만족시키기 위해 대한민국을 아예 없었던 것으로 하고,
유엔 감시 아래 남북한 총선거를 실시하여 새로 남북 통일정부를 세우자는 것이었다. 

   이것은 대한민국의 건국을 무효화(無效化)하는 것으로써
대한민국을 희생으로하여 휴전한다는 방안이었다.
  • ▲ 1953년 판문점 휴전 협상.
    ▲ 1953년 판문점 휴전 협상.
  •    이승만이 펄펄 뛰며 반대할 것은 당연했다.
    설사 그 안을 받아들인다고 해도, 선거는 북한만 하면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은 이미 유엔 감시 아래 선거를 치러 세워진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승만의 반대가 너무나 완강했기 때문에,
    유엔 측은 그 제안을 없었던 것으로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유엔의 휴전 방침은 확실했다. 

       휴전회담은 1951년 7월부터 개성에서 시작되어 판문점으로 옮겨가면서
    중단과 계속을 되풀이했다. 
       그러면서도 1953년에 들어오면서 휴전은 성립되는 듯이 보였다. 
  • ▲ 1953년 휴전반대 국민대회. '38선정전은 용공정책이다. 결사반대한다' 플라카드.
    ▲ 1953년 휴전반대 국민대회. '38선정전은 용공정책이다. 결사반대한다' 플라카드.
  •    이승만은 휴전에 찬성할 수 없었다.
    휴전은 한국인에게 통일도 가져다 주지 못한 채 죽음과 파괴만을 남길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국회도 이승만을 지지해 주었다.

       1953년 4월 9일 마지막으로 이승만은 휴전에 대한 정식 항의문을 트루먼에게 보냈다.
     만일 중공군을 북한에 둔 채 휴전협정을 체결한다면,
    한국은 통일을 위해 단독으로 북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왜냐하면 한국은 또다시 남침을 당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 경우에 미군은 한반도에서 철수해도 좋지만,
    공중 폭격, 야포 사격, 함포 사격의 지원만은 계속해줄 것을 요구했다.  

       1953년 4월 23일 이승만 대통령은 다시 양유찬 주미 대사를 통해 미국을 협박했다.
    만일 이러한 한국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휴전이 된다면,
    한국군을 유엔군으로부터 빼내겠다는 것이었다.
  • ▲ 1953년 휴전을 반대하는 학생들의 혈서.
    ▲ 1953년 휴전을 반대하는 학생들의 혈서.
    깜짝 놀랄 ‘반공포로 석방’으로 미국을 협박
          
       그러나 휴전의 방침을 굳힌 미국과 유엔은 강행할 계획이었다. 
       이승만은 미국과 유엔이 한국 정부의 의사를 묻지 않고 멋대로 휴전을 하려는 데 대해 분개했다. 
       특히 유엔 측이 북한이나 중공에 가지 않으려는 반공포로(反共捕虜)들을 중립국송환위원회에 넘겨 각자의 운명을 결정하도록 하겠다는 공산측의 요구에 양보한 데 대해 분개했다. 

       그렇게 되면, 북한에 돌아가지 않으려는 반공포로들이 친공적인 중립국 대표들의 압력과 설득으로 북한으로 다시 끌려갈 위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중립국 가운데서도 특히 친공적이고 친소적인 인도의 군대가 모든 경비를 맡게 될 것이 문제였다. 

       그러므로 이승만은 인천항에 도착한 인도군의 상륙을 거부했고,
    그 때문에 인도군은 미군의 헬티콥터를 이용해 판문점 지역으로 이동할 수 밖에 없었다.   
  • ▲ 1953년 이승만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석방한 반공포로들.
    ▲ 1953년 이승만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석방한 반공포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