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전 11시, 양화진 외국인묘지 내 100주년선교기념관에서 열려
  • 아버지는 대학 총장,
    어머니는 아이비리그 대학 창립자의 증손녀.
    그런 집안에서 태어난 사람이
    자신에게 아무 것도 해준 게 없는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저항했다.

    <호머 헐버트> 박사
    (Hommer. B Hulbert. 1863. 1.26 ~ 1949. 8. 5)는
    [파란 눈의 독립운동가]였다.

    美버몬트州에서
    당시 미들베리大 총장인 아버지와
    다트머스大 설립자의 증손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헐버트 박사는 1884년 다트머스大를 졸업한 후
    뉴욕 유니온신학대에서 2년 동안 공부했다.

    그의 집안은
    [인격이 승리보다 중요하다]는 가훈을 갖고 있었다.

    가훈대로 살고 싶었던 헐버트 박사는
    어느 날 아버지의 친구인 이튼 美교육장관에게서
    [한국으로 갈 영어교사를 모집한다]는 소식을 듣고 자원한다.

    1886년 한국에 온 헐버트 박사는
    왕립영어학교인 <육영공원>에서
    5년 동안 한국 학생들을 가르친다.

    그를 눈여겨 본 고종 황제는
    교육 분야 총책임자 및 외교자문관으로 임명했다.

    헐버트 박사는
    1891년 한국 사람들에게
    세계 각국의 문화와 지리 등을 알려주기 위해
    <서민필지>라는 책을 한글로 펴내기도 했고,
    1893년 감리교 선교사 자격으로 다시 한국에 와
    1895년부터 10년 동안
    <한성사범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초학지지>를 편찬했다.   
    당시 조선의 운명은 ‘풍전등화’였다.

    고종 황제는 1905년 <을사늑약> 후
    평소 친분이 있던 헐버트 박사에게 밀서를 건넨다.

    美대통령과 국무장관을 면담해
    일제가 강제로 맺은 을사늑약의 무효와
    한국의 자주독립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미국은 당시 한국의 독립에 별 관심이 없었다.

    헐버트 박사는
    이후 <한국평론>을 통해
    일본의 야욕과 야만적 탄압을 폭로하는 등
    독립운동에 나서기 시작했다.

    헐버트 박사는
    <독립신문> 창간을 도와주고,
    1907년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이 준> 열사 일행이 참석하는 것을 지원하기도 했다.

    헐버트 박사가
    이처럼 독립운동을 펼치자
    일제는 1909년 그를 미국으로 쫓아냈다.

    이후 헐버트 박사는
    40년 동안 한국 땅을 밟지 못했다.



  • 1949년 7월 29일 대한민국 정부 초청으로
    광복절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우리나라에 온 헐버트 박사는
    방한 1주일만인 1949년 8월 5일 86세로 영면한다.

    유족들은 [한국 땅에 묻히고 싶다]는
    평소 헐버트 박사의 소망에 따라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장하기로 했다.

    정부는
    헐버트 박사의 공훈을 기리어
    195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국가보훈처는 오는 12일 오전 11시,
    서울 마포구 합정동에 있는
    <양화진 외국인 묘지> 내 100주년 선교기념관에서
    [헐버트 박사 서거 64주기 추모식]을
    (사)헐버트 박사 기념사업회(회장 김동진) 주관으로 연다고 전했다.

    추모식에는
    서울지방보훈청장, 광복회 부회장,
    기념사업회원, 유족, 시민, 학생 등
    3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 헐버트 박사의 자손들도
    오는 15일 광복절 기념식 참석을 위해 입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