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조직 폐지 앞두고 張 前 주무관 등 2~3명이 맡아”총리실 조사심의관실 자료 중 1000건만 국가기록원에 넘겨
  • ▲ MB 정부의 사찰 문제를 폭로한 장진수 전 주무관.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사찰 문건을 폐기하는 핵심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합뉴스
    ▲ MB 정부의 사찰 문제를 폭로한 장진수 전 주무관.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사찰 문건을 폐기하는 핵심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합뉴스

    노무현 정부 시절 국무총리실 조사심의관실의 사찰 문건 대부분을 장진수 전 주무관이 폐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진수 전 주무관은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과 증거인멸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했다고 폭로한 장본인이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청와대 관계자는 3일 “노무현 정부 시절 총리실 소속인 장진수 전 주무관 등 2~3명이 사찰 문서의 폐기를 맡았다”고 밝혔다.

    노무현 정부에서 이명박 정부로 넘어오면서 조사심의관실을 없앤다는 결정이 통보된 뒤 이들이 윗선의 지시에 의해 사찰 문서를 폐기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미처 없애지 못한 문건 중 1천여건은 국가기록원에 넘겼다”고 말했다.

    당시 장 전 주무관 등은 사무실이 있던 정부중앙청사 별관(현 외교부 청사) 지하의 대형 문서파쇄기에 관련 문건을 집어넣어 파쇄하는 작업을 며칠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심의관실은 김대중 정부 초기인 1998년 설치돼 노무현 정부까지 운영되다가 2008년 2월 폐지됐다.

    이명박 정부는 촛불시위를 겪은 뒤 2008년 7월 조사심의관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공직윤리지원관실을 총리실에 다시 만들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장 전 주무관 등은 컴퓨터에 저장돼 있던 문건을 없애기 위해 컴퓨터 자체를 해머 등으로 부숴버린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가기록원에 보관돼 있던 문건 1천여건 중 300건은 이후 보관연한이 도래하면서 추가 폐기됐고, 남은 700건은 2010년 공직윤리지원관실 민간인 불법 사찰 사건이 불거진 뒤 총리실이 국가기록원으로부터 다시 넘겨받았다고 했다.

    한편, 청와대는 지난달 29일 KBS 새노조가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사찰 문건 2619건을 입수했다”며 관련 내용을 폭로하자, 남은 문건 700건을 입수·분석해 노무현 정부 당시 민간인·정치인 사찰 사례 일부를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