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구출작전 성공 뒤 슬그머니 '구출작전성공' 보도<미디어오늘><프레시안> 등 ‘엠바고’ 관련 비판 쏟아내
  •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이 성공한 지 나흘째인 오늘, 현 정부의 모든 게 불만이던 일부 언론들이 슬그머니 트집을 잡고 있다. 국민들은 ‘인질을 구출한 게 불만인 듯 하다’며 이들을 비판하고 있지만 이 언론들은 국민들 목소리는 무시하는 눈치다.

    ‘엠바고’ 무시한 ‘언론들’ 슬그머니 구출작전 비판 기사 게재

    지난 21일 삼호주얼리호 구출작전이 성공했다. 이 소식에 피랍선원 가족과 선사, 정부 관계자는 물론 대부분 언론과 국민들 모두 환호했다. 2006년 이후 지금까지 8차례의 피랍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정부는 대책반 마련’이라는 말만 했고, 항상 몇 달 뒤 거액의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기에 이번에도 그런 식일 줄 알았다가 ‘강한 대한민국’의 모습을 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언론은 물론 국방부, 청와대, 심지어 국회까지도 삼호주얼리호 구출과 관련된 자료를 내놓으며 해군의 노고를 치하했다. 국민들도 다양한 곳에다 UDT대원, 청해부대, 최영함, 링스헬기에 대한 자료들을 올리며 그들을 칭송했다. 연평도 기습도발로 손상된 국가적 자긍심이 회복되는 것처럼 보일 정도였다.

    대세라고 생각해서였을까. 국방부의 간곡한 만류에도 불구하고 기사를 계속 게재했던 <미디어오늘>과 <아시아투데이>도 구출작전 성공 기사를 신속하게 보도했다. 하지만 주말부터는 이번 구출작전을 승인한 청와대, 작전주체인 국방부를 향해 포문을 열기 시작했다.

    우선 <아시아투데이>는 ‘엠바고’를 깬 후 국방부가 출입을 제한한 것을 항의하며 ‘언론탄압’이라며 흥분하는 칼럼을 냈다. <미디어오늘>은 삼호주얼리호 석 某 선장의 부상 이야기를 꺼내며 ‘이를 두고 인질 생명의 위험을 감수하고 작전을 벌인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

  • <미디어오늘>은 여기다 어떤 네티즌의 주장이라며 ‘이 작전은 대단히 위험이 따르는 국면전환용 아니었을까. 아직 억류된 어선이 남아있고 앞으로도 우리의 선박은 끊임없이 홍해를 통과할 테니 그렇다’라며 일종의 ‘음모론’을 전하기도 했다.

    억류 중인 ‘금미305호’ ‘해적 위협설’ ‘엠바고 파기 제재’로 문제 제기

    구출작전 성공 나흘째인 오늘은 ‘한국인 살해위협, 금미호는 어쩌나’라는 제목의 기사를 톱뉴스로 게재했다. 이 기사에서 <미디어오늘>은 <로이터통신>의 23일자 기사를 인용, ‘소말리아 해적들은 높은 몸값을 얻어낼 수 있는 협상을 기대하기 때문에 보통 그들의 포로들에 해를 끼치지 않지만, 그들은 이번 해적들의 죽음에 대해서는 복수하기를 원한다고 말하고 있다’며 이번 구출작전이 해적들을 변하게 한 것처럼 여겨지게 했다.

    이어 다음에는 ‘엠바고 불응에 사상초유 언론탄압’이라는 제목으로 이번 구출작전에 대한 ‘엠바고’를 무시한 <미디어오늘> <부산일보> <아시아투데이>에 대해 정부 부처들이 출입제한은 물론 자료제공도 금지한 것을 비판하는 기사를 톱뉴스에 올려놓았다. <미디어오늘>은 이 기사를 통해 ‘엠바고 무시 3사’의 의견을 내세워 비판 중이다.

    이 기사에서 <미디어오늘>의 백병규 편집국장은 “부산일보나 미디어오늘 등이 보도한 것은 이미 실패로 끝난 1차 작전 사항에 관한 것이었다. 언론을 통해 이미 보도됐던 내용까지를 보도하지 말라고 요청하는 것이 넌센스”라며 “객관적으로 납득할만한 사유도 제공하지 않고 군의 보도통제에 협조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런 제재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언론 통제이자 국민 알권리에 대한 심대한 침해”라고 말했다.

    참고로 <미디어오늘>은 지난 20일 국방부의 ‘엠바고’ 요청을 무시한 채 삭제된 <부산일보>를 인용해 관련 기사 여러 개를 ‘네이버’ 뉴스캐스트에 게재한 바 있다.

    이정호 <부산일보> 편집국장은 “명박한 월권행위이며 비법적인 조치”라며 “자체적인 취재를 통해 확인해서 보도한 것을 두고 엉뚱하게 우리가 엠바고를 파기했다는 논리로 국방부 이외에 경제부처나 문화부처 등에 대한 기자들의 출입을 제한한 것은 전무후무한 일이자 국민의 알권리를 크게 침해하는 행위로 법적 대응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참고로 ‘엠바고’를 무시한 <부산일보> 기자는 청와대 출입 기자였으며 여당의원으로부터 이 이야기를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첫 보도 이후 국방부가 요청하자 관련 기사를 한동안 삭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미 20만 부의 종이신문이 배포된 뒤였다.

    박정규 <아시아투데이> 편집국장은 “유신정권 때도 이런 일이 없었다”며 “대한민국 뿐 아니라 세계에도 없는 언론탄압”이라고 말했다.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아시아투데이>는 24일 오전 국방부장관 앞으로 ‘출입제한 관련 공문을 취소하지 않을 경우 직권남용 혐의로 장관을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국방부에 통보했다’고 한다.

    참고로 <아시아투데이>는 엠바고를 요청한 국방부 측에 “우리는 트위터 등 SNS를 통해 들은 이야기를 보도한 것이므로 엠바고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기사 삭제를 거부했었다.

    인질구출작전과 ‘국민의 알 권리’

    <미디어오늘>을 포함, 이들이 말하는 건 ‘국민의 알 권리’ 침해와 ‘실패한 작전을 보도한다는 게 해적에게 영향을 준 명확한 근거를 대라’는 것이었다.

    우선 ‘작전 보도가 해적에게 영향을 준 근거’는 간접적으로 찾을 수 밖에 없다. 구출작전이 성공한 이틀 뒤 해적들은 ‘한국에 보복하겠다’는 이야기를 <로이터통신>을 통해 전했다. 구출작전 당시 최영함은 전자전 장비를 통해 해적들과의 교신을 차단한 바 있다. 따라서 <로이터통신>의 보도는 지금까지 언론을 통해 보도된 것처럼 해적들이 조직망을 통해 납치한 선박의 본국 언론보도를 모니터링 한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그 다음 ‘국민의 알 권리 침해’ 부분에 대한 주장은 이번 일의 경우 모순이 있다. 그들의 주장대로 1차 구출작전 실패 보도에 이어 현재 청해부대 상황까지 보도하는 것이 해적들에게 영향을 전혀 주지 않을까. 이에 대한 답은 <로이터통신>을 통해 이미 설명했다. 그들이 '설령 해적들이 청해부대의 상황을 안다 하더라도 인질들의 안전에는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한다면 ‘그렇다면 국민의 알 권리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보다 더 중요한가’라고 반문할 수 있다.

    국방부 출입기자단과 청와대 출입기자단은 대부분 경력이 어느 정도를 넘은 중견기자들이다. 이들이 ‘국민의 알 권리’라는 걸 모를까. 이번 작전에 대해 ‘엠바고’를 지키는 게 어떤 의미인지를 몰랐을까. 그렇게 생각한다면 ‘엠바고 무시 언론 3사’는 오만하다고 밖에 설명할 말이 없다.

    <미디어오늘>을 보는 네티즌의 시각

    ‘엠바고 무시 언론 3사’가 이런 식의 주장을 펴다보니 그 중심에 있는 <미디어오늘>에 대한 ‘네티즌’들의 평가는 박(薄)하다. 여러 사람이 함께 꾸민다는 ‘위키피디아’ 한국어판(http://ko.wikipedia.org/wiki/%EB%AF%B8%EB%94%94%EC%96%B4%EC%98%A4%EB%8A%98)에서 <미디어오늘>을 찾아보면 ‘엠바고 무시’에 대한 설명이 나온다.

    그 외 설명들도 사실을 근거로 했지만, ‘북한의 입장을 대변한다는 평가가 있으며 조선일보 등 보수언론의 비판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승복 사건을 보도한 조선일보의 기사가 현장 취재를 거치지 않은 허위보도라고 주장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조선일보에 패소한바 있다’는 등의 부정적인 평가 일색이다.

    물론 <미디어오늘>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전국언론노동조합이나 그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민언련(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등의 의견을 지지하는 이들은 어떤지 모르겠다. 하지만 ‘국민의 알 권리’라는 것이 특정 성향의 사람들을 위한 게 아니라 전 국민을 위한 것임을 생각한다면, 네티즌들이 ‘위키피디아’를 통해 평가한 내용도 한 번 쯤 봐야 할 듯 싶다. 지금 우리나라 국민들은 ‘언론’의 머리 꼭대기에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