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 ⓒ 뉴데일리
    ▲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 ⓒ 뉴데일리

    “이승만 건국대통령은 끝까지 언론은 자유민주주의의 근간(根幹)이라는 신념을 고수했다.”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명예교수(언론정보학)가 16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교회 아펜셀러홀에서 열린 우남 이승만연구회 제50차 콜로퀴엄에서 언론인이자 독립운동가, 그리고 대통령으로서의 이 대통령의 언론정책에 대해 강연을 했다.

    정 교수는 이날 강연에서 “이 대통령은 한말에는 언론인으로, 일제 치하 망명기에는 언론을 항일독립운동의 방편으로 활용했다”고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배재학당이 발행한 ‘협성협회보’의 중심인물이었고 이 신문을 일간지로 발전시킨 ‘매일신문’의 주필이자 사장을 맡았다.
    정 교수는 신문 초창기에 이 대통령이 선구자적이고 뛰어난 언론인이었다는 것은 높이 평가할 일이라고 말하고 “일찍부터 국제화와 세계화를 부르짖은 선각자였다는 사실도 우리에게 던져주는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정 교수는 이 대통령이 건국 후 대통령이 되어선 언론정책을 추진해야할 위치에 있었지만 특별한 언론정책을 만들거나 추진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 ▲ 이승만 대통령이 1954년 1월 신년을 맞아 언론계를 격려하기 위해 쓴 글. '위민국언론계 춘추필법'으로 올곧은 보도자세를 강조한 내용이다. ⓒ 뉴데일리
    ▲ 이승만 대통령이 1954년 1월 신년을 맞아 언론계를 격려하기 위해 쓴 글. '위민국언론계 춘추필법'으로 올곧은 보도자세를 강조한 내용이다. ⓒ 뉴데일리

    정 교수는 이승만 정권의 언론정책은 ▲반공정책의 연장선상에서의 언론대책 ▲새로운 신문의 억제 ▲검열을 실시하지 않은 점 ▲신문의 논조에 불간섭 등 4가지를 들었다.
    ▲반공정책의 연장선상에서의 언론대책의 경우 이는 6.25와 전쟁 전후의 공산주의 침투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정 교수는 설명했다. 
    ▲새로운 신문의 억제는 당시 사회적 여건으로 보아선 신문의 숫자가 결코 적은 것이 아니었으며 이 대통령 하야 후 민주당 시절의 신문-통신의 범람과 이로 인한 사회적 혼란은 이승만 정권의 발행허가 억제가 불가피했음을 반증한다고 말했다.
    정교수는 6.25 전쟁 기간 기사 검열을 실시한다는 공고가 잠시 잇었지만 검열기구를 두거나 제도적으로 운영하지 않았다고 밝히고 “국가가 어렵고 혼란할 때 다양한 주장이 난무하고 야당지가 여론을 주도하는 형국에서도 이 대통령은 신문의 논조에 간여하지 않았다”고 소개했다.

    정 교수는 “이 대통령은 진보적이고 국제 감각을 지닌 언론인이었다”며 “전란 중에 임기응변으로 언론을 탄압한 경우도 있지만 서구식 언론자유를 기본으로 하는 언론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결론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