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기남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15일 소속 의원들의 연이은 집단탈당과 관련, “(이들의) 탈당 본질은 ‘노무현 버리기’”라면서 “노 대통령에게 책임 전가하고 면죄부를 받아 (자신들의) 살 길을 찾겠다는 것”이라고 힐난했다.

    신 전 의장은 이날 출입기자들과 오찬을 함께 하면서 “대통합을 내걸면서 갖가지 계파가 갖가지 이유로, 탈당 난립 사태를 이루고 있다”며 이같이 밝힌 뒤, “노무현을 버려야 산다고 아우성치는데 볼썽사납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탈당은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나오는 불안심리의 탈출, 도피성 탈당”이라면서 “이는 국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당내 대통합 논의 방향과 관련, “열린당이 해체돼야 통합이 가능하다는 의견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파괴․분열시켜 어떤 구심력으로 다시 통합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인지 전략적 측면에서도 맞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정세균 의장이 주도하는 임시 전당대회를 통해 질서있는 ‘당 대 당’ 통합을 한다면 이는 열린당 승계라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지만 ‘노무현 버리기’에 있는 사람들이 주도한다면 ‘당 대 당’ 통합이 어려울 것이며 이런 통합에는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신 전 의장은 “지금 탈당해 대통합을 추진하는 사람들이 저를 포함한 계승파(당 사수파)를 배제하려고 하는 것 같다. 왕따를 하는 것 같다”면서 “그러나 (저는) 왕따를 당하더라도 제길을 가겠다. (대통합신당에)간다면 당당하게 열린당의 자부심으로 가겠지만 구차하게 따라갈 생각은 없다”고 참여정부와 열린당의 계승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대통합 원칙에 찬성하지만, 대통합의 대원칙은 참여정부.열린당을 승계하는 ‘당 대 당’ 통합이어야 한다”고 재차 밝혔다.

    그는 아울러 노 대통령에 대해서는 “(발언의) 톤과 스타일, 횟수가 잦다는 점 등 방식의 아쉬움이 있다”면서 “(노 대통령이)외롭고 답답한 것 같다”고 말했다. “(당내) 누가 전열을 정비해서 나서줘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자신이라고 나서야겠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옹호했다. 신 전 의장은 “과거의 어느 정부보다도 많은 성과를 냈다”며 “물론 불만도 있지만 그것은 공동책임이며, 노 대통령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나라당 내 유력 대선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7%의 경제성장률 공약을 언급하며 “경제성장률 공약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그거 얘기안하면 떨어지느냐”고 반문하며 “의미도 없는 박정희 시대 때의 공약을 아직도 하느냐”고 주장했다. “성장률 공약은 유치한 수치의 놀음”이라고도 했다.

    신 전 의장은 그러면서 자신의 사실상의 대선출마 공약인 '복지문화론'을 설파했다. 그는 “지금은 운하나 신도시를 가지고 나갈 때가 아니라, 복지문화국가, 미래가 보장되는 나라를 가지고 가야 하며 이것으로 한나라당을 충분히 깰 수 있다”고 언급한 뒤, 자신의 대선출마 공식 선언 여부에 대해서는 “당 문제가 해결되면 어떤 당의 후보로 나설지를 보고 (대선출마 공식선언을)하겠다”고 말했다. 신 전 의장은 “대운하는 파는데 드는 재정의 1/10만 복지.문화에 쓰면 대단한 승수효과가 난다”고도 했다.

    신 전 의장은 이와 함께 논란이 일고 있는 참여정부평가포럼(참평포럼)에 대해서는 “차라리 정당을 하든지 결사체를 하든지 하지, 스스로 평가한다는, 이름을 그렇게 하다보니 노 대통령의 친위부대 비슷하게 돼 버렸다”면서 “(당초)의미가 축소됐다”고 말했다. 

    신 전 의장은 최근 당의 상황에 대해서도 "지도부가 당을 죽여야 통합이 된다는 논리로 당을 방치해 와 당이 말이 아니다. 역사상 이런 정당 없었다"며 "민주개혁정부 10년을 계승하는 자존심회복 운동 등 당을 정비.강화하는 일을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