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Notice: Undefined offset: 0 in /webstore/pub/www/htdocs/svc/article/article.www.template.inc.php on line 4

무슨 혁신했기에 ‘혁신리더’라고 자랑하나

입력 2006-03-04 10:17 수정 2006-03-04 11:29

동아일보 4일자에 실린 사설 <무슨 정부혁신 했길래 '혁신리더'인가>입니다. 네티즌의 사색과 토론을 기대하며 소개합니다.

5·31지방선거 후보 차출을 위한 개각에 대해 김완기 대통령인사수석비서관은 “(새 장관 후보) 4명 모두 혁신리더를 발탁했다”고 자랑했다. 이용섭 대통령혁신관리수석비서관을 행정자치부 장관에 기용한 것 등을 근거 삼아 그렇게 설명했지만 과연 정부가 ‘혁신’되기는 된 것인가.

정부는 지난해 부처별 혁신이 ‘크게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실적이란 것이 일부 단위조직의 우수사례 외엔 대부분 ‘혁신목표를 설정했다’ ‘평가제를 도입했다’ 등등의 수준이다. 이런 것을 ‘혁신 실적이 크게 향상됐다’고 자평(自評)하니, 기업 등 민간부문 사람들이 뒷전에서 코웃음을 치는 것이다.

정부혁신 인터넷 사이트에는 “행정 비능률을 버리는 ‘능력 정부’, 국민의 실질적 참여를 보장하는 ‘열린 정부’, 정책과정과 성과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고 평가받는 ‘책임 정부’ 등 6가지를 위해 혁신한다”고 소개돼 있다. 그렇다면 노무현 정부 3년에 대해 ‘무능 정부, 그들만의 참여 정부, 핑계 정부’라는 혹평이 나오는 데 대해서는 어떻게 답할 것인가.

정부혁신의 본질은 비용 절감과 행정 서비스 향상이다. 정부는 인적 물적 가용 자원 범위 안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유효한 일을 골라 해야 한다. 그런데 현 정부는 ‘정책의 쓰레기통’ 소리를 들을 만큼 긴 국정리스트를 옆에 끼고 예산이 부족해 일을 못한다며 세금 더 거둘 궁리부터 한다. 일 없이 빈둥거리는 공무원이 곳곳에 있는데도 한쪽에선 기구를 키우거나 조직을 새로 만들고 공무원을 더 뽑는다. 세계에 자랑해 온 전자정부의 서류발급 서비스는 위조 변조 가능성 때문에 한동안 중단됐다. 정부는 또 7월 도입될 고위공무원단 제도를 자랑하지만 ‘경력관리용’ 장관 기용, 공기업 사장 낙하산 인사 등으로 인사 공정성이 상처받은 지 이미 오래다.

영국 마거릿 대처 정부의 민영화와 복지 축소를 골자로 한 정부혁신,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 등의 경쟁적인 ‘작은 정부’ 추진과 규제 축소 및 행정 효율화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이 정부의 ‘혁신 리더’들에게 묻고 싶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전·충청·세종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뉴데일리 칼럼 프린트 버전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