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공유하기

"인권잣대는 북한에도 동일하게 적용돼야"

입력 2005-12-02 12:46 수정 2009-05-18 15:20

북한민주화네트워크(대표 한기홍)가 1일 '진보'를 자처하는 일부 인권운동 단체들의 인권관에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다.

네트워크는 이날  ‘일부 인권단체의 북한인권에 대한 시각에 우려를 표한다’는 논평을 내고 “인권은 자본주의 나라에서는 지켜져야 하고 사회주의 나라에서는 지켜지지 않아도 되는 선택사항이 아니라 당연히 보장되어야 할 ‘보편적’ 권리”라며 “프랑스나 미국은 자국의 인권문제를 당연히 논의하고 있지만 북한은 숨기고 부인하고 있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인권사랑방’을 비롯한 일부 인권운동단체는 지난달 30일 북한인권문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하면서 “자본주의 나라의 인권 개념이 사회주의 나라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사회주의 사회에서 고유하게 발전시켜온 인권관에 대해서도 존중해야 한다”고 강변했었다.

이들은 또 “유엔인권위나 유엔총회는 프랑스 이민자 사회에 대한 인종차별 문제나 미국의 빈민문제·인종차별 문제와 같은 중대한 인권침해에 대해 어떠한 결정도 한 바 없다”며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은 ‘인권’의 이름을 빙자한 정치적 공세”라고 규정하기까지 했다.

이와 관련 네트워크는 논평에서 인권운동사랑방의 한 상임연구원이 네트워크를 향해 ‘반북인권운동세력’이라고 부른 데 대해 “북한인권운동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어리석은 적의와 흥분된 감정을 거두고 냉정하게 이성을 되찾아라”고 주문했다.

이어 “북한인권문제가 국제적인 이슈로 부각되고 북한인권운동의 저변이 넓어지는 것에 당황하는 그들의 심정은 이해가 되지만 논리를 만들려면 좀 제대로 만들기 바란다”며 “이제라도 과거를 반성하고 북한인권운동의 길에 당당히 나서기 바란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충고했다.

 

뉴데일리 댓글 운영정책

뉴데일리 경제

대구·경북

메인페이지가 로드됩니다.

로고

[단독]'이동관 아들 학폭 의혹' 제기 하나고 교사, 중국에 있다... 신문에 '이재명 지지' 칼럼도 써

핫이슈

[단독]'이동관 아들 학폭 의혹' 제기 하나고 교사, 중국에 있다... 신문에 '이재명 지지' 칼럼도 써

차기 방송통신위원장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진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아들의 학교폭력 의혹을 최초로 제기한 전경원 하나고 교사에게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그가 현재 중국의 한인국제학교에서 교사로 근무 중인 사실이 확인됐다.9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전 교사는 ..

뉴데일리TV

칼럼

윤서인의 뉴데툰

특종

미디어비평

제약·의료·바이오

선진 한국의 내일을 여는 모임. 한국 선진화 포럼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