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건국사》(106) 한일회담과 ‘재일동포북송’
‘한 번 나라를 잃으면 다시 찾기가 얼마나 힘드는 지 아느냐“반세기가 넘는 항일 독립운동 끝에 대한민국을 건국한 이승만 대통령의 뼈아픈 고백이다.망국 40년만에 ’다시 찾은 나라‘는 그러나 한반도 남쪽 반토막뿐, 조국의 북반부는 새로운 적(敵) 소련 공산독재가 점령한
《이승만 건국사》 (105) ‘반공’ V ‘간첩’
자유세계를 이끄는 반공지도자 이승만 박사는 ‘반공철학’의 일단을 이렇게 말한다.“공산주의는 콜레라와 같아서 친부형자질(親父兄子姪)이라도 격리시키지 않으면 모두 파멸하게 된다. 그러나 회개하고 돌아서는 사람은 자유독립 번영을 위해 힘을 합쳐나갈 것이다.”해방후 귀국한 이
《이승만 건국사》(104) 민주당과 조봉암
세계최초의 공산국 연합 침략전쟁이 멈춘 정전협정 1년 남짓, 쑥대밭 대한민국엔 때아닌 ‘정계개편 태풍’이 불었다. 소위 ‘사사오입 개헌’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임기제한을 철폐하자 야당들이 그제서야 ‘하나로 뭉치자’고 일어선 것이다. 그들의 눈엔 ‘자유시장경제 개
《이승만 건국사》 (103) 시장경제로 바꾸자!
이승만 대통령이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하려는 개헌을 처음 제안한 것은 1954년 1월이다. 건국한지 6년 만에, 그리고 미국을 국빈방문 하기 6개월 전의 일이다. 그러니까 휴전과 한미동맹 조약을 체결하고 한국 국회의 비준과 미국 의회의 비준을 받은 것과 거의
《이승만 건국사》(102) 미국원조 거부 파동
이승만 대통령의 공(功)을 말할 때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의 건국“을 으뜸으로 친다.물론이다. 이때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가 건국 순간부터 시작된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이 많다. 착각이다. 대한민국 헌법 교육은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1948년 8월15
《이승만 건국사》(101) 공식방미 통일투쟁 ⑥
아, 알로하 오에~~!! 하와이를 떠났던 이승만이 다시 호놀루루에 돌아왔다.망명 투쟁 26년 만에 1939년 워싱턴으로 갔던 그가 15년만에 대통령이 되어 나타났다. 알로하 오에(Aloha ʻOe)는 하와이 말로 '안녕 그대여'란 민요, 작사-작곡자는 하와이
《이승만 건국사》 (100) 공식방미 통일투쟁 ⑤
“가짜 평화를 구걸하느라 적에게 모든 것을 바치지 말고, 자유와 정의 구현에 모든 것을 바치면 진짜 평화가 온다”이승만 대통령이 미국 가는 곳마다 쏟아낸 이 연설 대목은 무엇을 말하는가. 말할 것도 없이, 아이젠하워가 대선공약(한국전쟁종결)
《이승만 건국사》 (99) 공식방미 통일투쟁 ④
워싱턴에서 분주한 1주일을 마친 이승만 대통령은 31일 토요일 아침 뉴욕으로 날아간다. 그날 오후 뉴욕타임스(NYT)와 단독인터뷰가 예정되어있다. 그런데 이날 아침 NYT가 난데없이 ‘독도’(獨島) 기사를 2개면에 걸쳐 보도하다니...「한국이 섬들을 점령, 일
《이승만 건국사》(98) 공식방미 통일투쟁 ③
1954년 7월29일 워싱턴 오후 1시 30분, 영빈관에 돌아온 이승만 대통령은 ‘한미공동성명 초안‘이란 문서를 훑어보자 표정이 굳어졌다. 제2차 한미정상회담에 앞서 미국무부가 미리 작성해서 보내온 것이다. 회담 개최는 한 시간 밖에 남지 않았다.“이 친구들이 나를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