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국회서 언총 창립 1주년 기념세미나"'언론계 정상화' 위해 전투력 있는 인사 필요"
  • ▲ 8일 국회의원회관 제3회의실에서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 창립1주년 기념세미나가 열렸다. ⓒ뉴데일리
    ▲ 8일 국회의원회관 제3회의실에서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 창립1주년 기념세미나가 열렸다. ⓒ뉴데일리
    김현우 대한민국언론인총연합회(이하 '언총') 회장이 '언론 위의 언론'으로 군림하고 있는 양대 포털(네이버·카카오)을 겨냥해 "종북좌파 진영의 놀이터로 전락했다"며 "참여민주주의의 근본을 지키기 위해선 포털의 재구조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8일 국회의원회관 제3회의실에서 열린 언총 창립 1주년 기념세미나에 참석한 김 회장은 "언총이 창립 1년 만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현업 언론인 단체로 성장하고 있다"고 자평한 뒤, 정파적으로 변질된 언론과 유사 언론, 이를 방기하거나 되레 유통하는 포털의 근본적 개혁을 위해 언총이 더 많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좌편향을 넘어 종북좌파 세력이 판을 치고 있는 포털을 개혁하는 것은 물론 정파적 세력이 공영방송의 의사결정을 하도록 놔둬선 안 된다"며 "이번 총선뿐만 아니라 차기 대선에서 국민의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저희 언론인들이 더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소연 변호사(법률사무소 WILL 대표변호사)는 "포털 제휴 유지 조건에 따른 압박감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가짜뉴스들을 인터넷 매체들이 서로 베껴 쓰면서 가짜뉴스들이 포털사이트를 타고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그 결과 뉴스 콘텐츠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국가적인 혼란을 야기해서 2차 피해로 확산되기 때문에 포털법 제정을 통한 뉴스제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 채널A 기자로 가짜뉴스의 대표적인 피해자인 이동재 기자는 "'김대업 사건'을 필두로 선거 시즌이 되면 황당무계한 허위사실이 반복 유포되는 폐해가 지속되고 있는데, 허위사실임이 명백히 입증된 이후에도 확실한 처벌이 없어 허위사실이 여전히 유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포털이 이러한 허위조작뉴스의 온상이 되고 있다"고 주장한 이 기자는 "허위조작뉴스를 보도하는 언론의 경우 국민 피해를 막기 위해 포털에서 퇴출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김도연 국민대 교수는 "대통령 임기 시작과 방송통신위원장, 공영방송 이사회 임기가 함께 가도록 하고, 방통위를 '독임제'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면서 "'우리는 유통에만 관여하고 있다'는 포털의 변명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에 포털뉴스를 규제할 법제 마련이 필요하고, 방송사의 임단협에 의한 임명동의제 같은 독소조항도 정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토론에선 "이번 '4·10 총선'을 통해 '전투력 있는 인사들'이 국회로 많이 들어가 기울어진 방송지형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좌장을 맡은 김원 언총 사무처장(KBS 프로듀서)은 "지난 대선 후 지금까지 방송 미디어계는 방통위원장 탄핵 등으로 총체적 난국을 맞고 있다"며 "신장식·안귀령 같은 편파방송을 주도해 온 인사들이 22대 국회 과방위에 전진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김 사무처장은 "이에 반해 여당의 중량급 의원들은 불출마와 험지 재배치로 방통위 복귀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평가하면서 "비례대표라도 민노총 언론노조와 싸운 경험이 있는 전투력 있는 인사들이 발탁돼 국회 과방위에 진입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기완 언총 정책위원장(KBS 프로듀서)은 "정권교체 후 KBS 사장 취임까지 KBS는 사실상 업무가 정지되는데, 그 기간이 이명박 정부 출범 때는 6개월, 문재인 정부에선 11개월, 윤석열 정부에선 무려 18개월이 걸렸다"며 "선거를 통해 구성된 행정부가 공영방송의 수장을 선임하고, 그 공과는 선거를 통해 심판하는 것이 간명하고 민주적"이라고 주장했다.

    "방통위도 정권 출범 후 '정치투쟁의 장'으로 전락한 후 개점휴업 중"이라고 평가한 박 정책위원장은 "방송 통신 정책에 관한 사항은 합의 의결이 아니라 독임제 부처의 책임자가 책임지고 끌고 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현재 공영방송 제도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영방송을 노조가 사유화했다는 것"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방송법 4조 4항에서 방송편성규약을 제정해 프로그램 제작 자율성을 보장하도록 한 조항을 폐지해야 한다"고 박 정책위원장은 제언했다.

    정철웅 KBS 방송인연합회장은 "2017~2018년 민노총 언론노조에 의해 자행된 공영방송 파괴행위에 대한 처벌과 단죄가 필요하다"며 "민노종 소속 자칭 언론인들의 노골적인 편파방송과 민노총 노조원들의 선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제작자율성과 임명동의제 같은 민노총 노조의 프레임을 퇴출시키기 위해선 공영방송 간부들의 '용기'와 '책임 있는 행동'이 필요하고, 이것 없이는 언론 정상화는 불가능하다"고 역설했다.

    강명일 MBC 방송인연합회장은 "최순실 태블릿 PC 보도 이후 손석희가 구축한 '맥락 저널리즘'에 대한 열광과 팬덤은 확증편향을 갖고 있는 좌편향 시청자들에게 논리와 정보를 제공한 결과로 해석 가능하다"면서 "이 '맥락 저널리즘'이 MBC 라디오와 '탐사기획 스트레이트'로 이어져 한쪽만 물어뜯는 맥락 저널리즘이 됐고 이것이 극단적인 대립을 불러왔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대중에게 중요한 논쟁적 이슈에 대해 균형적 보도를 요구하는 '공정성 독트린'이 공영방송에는 여전히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허성권 KBS노동조합(1노조)위원장은 "BBC의 수신료도 폐지되고 인터넷 망에서 수신료를 받는 방법마저 고려되고 있다"며 "NHK도 수신료 수입이 4년 연속 감소하고, 징수율도 3년 연속 감소 중인 상황에서 공영방송의 역할 수행에서 조금만 삐끗해도 위기가 몰려온다"고 타국의 상황을 예로 들었다.

    허 위원장은 "특정 정치성향을 갖고 정치권력과 연대해 온 KBS 내 세력이, '수신료 분리징수'로 인한 KBS 위기의 원인이라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들 세력의 청산은 KBS가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 속에서 국민과 호흡하며 새로운 공영방송으로 태어나기 위한 혁신의 전제조건"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