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월 30일 충남 태안 인근 해성사 첫 발사 이후 두 번째군 당국, 오는 2025년까지 소형 위성 발사체 지구 저궤도 목표국방부 "향후 몇 년 간 개발과정 거쳐 성과 내도록 하겠다"
  • ▲ 30일 오후 서울시 옥수동 상공에 긴 연기 꼬리를 그리며 날아가는 빛이 포착되고 있다. ⓒ연합뉴스
    ▲ 30일 오후 서울시 옥수동 상공에 긴 연기 꼬리를 그리며 날아가는 빛이 포착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 군이 두 번째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국방부는 30일 오후 6시 45분쯤 "고체추진 우주발사체 시험비행 성공"이라는 짧은 메시지를 기자단에게 보냈다.

    이어 7시 40분쯤 "우주안보·경제시대에 맞춰 독자적 우주 기반 감시정찰 분야의 국방력 강화를 위해 오늘 고체연료 추진 방식의 우주발사체를 비행시험했다"고 밝혔다.

    앞서 국방과학연구소(ADD) 지난 3월 30일 충남 태안 안흥종합시험장 인근 해상에서 고체추진우주발사체의 성능검증을 위한 첫 시험발사에 성공 한 바 있다.

    당시 ADD 관계자는 "고도 500㎞에 중량 500㎏ 정도의 위성을 보내는 발사체를 목표로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한 고체추진우주발사체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초소형 정찰위성 여러대 띄워 대북경계·감시에 활용하겠단 계획

    우리 군 당국은 오는 2025년까지 소형 위성 발사체를 지구 저궤도에 올린다는 목표를 세워두고 있다. 특히 군은 초소형 정찰위성 여러 대를 고도 수백㎞ 상공에 띄워 대북경계·감시에 활용하겠단 계획도 갖고 있다.

    군 당국의 이날 '고체 우주발사체 시험발사'는 사전 예고 없이 진행됐다. 일각에선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ADD를 방문한 점을 들어 이 자리에서 관련 논의와 지시가 이뤄졌을 수 있단 관측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비행시험 전 발사경로와 관련 있는 영공 및 해상안전에 대한 조치를 했다"며 "군사보안상 문제 때문에 모든 국민들께 사전 보고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향후 몇 년 간 개발과정을 거쳐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며 "우리 군은 우주를 포함한 국방력 강화에 계속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고체연로 추진 발사체,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군사적 효용성 

    고체연료 추진 발사체는 액체연료 추진방식과 비교했을 때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소형 인공위성이나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리는 데 적합하다.

    게다가 고체연료 추진방식을 적용한 발사체는 액체연료 방식과 달리 연료 보관·주입과 발사과정에서 시간적·물리적 제약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군사적 효용성을 갖는다. 위성발사용 우주로켓에 위성체 대신 탄두를 실으면 곧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되기 때문이다.

    북한의 이른바 '위성 개발'이 ICBM 등 중·장거리탄도미사일 기술 고도화를 위한 것이란 의심을 받아온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실시했다는 '군 정찰위성 시험'에 대해서도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발사'란 평가를 유지 중이다.

    군 당국은 북한이 올 2~3월 이른바 '정찰위성 개발 시험'을 했을 때도 신형 ICBM '화성-17형' 개발의 일환으로 평가했다.

    한편 이날 우리 군이 쏴 올린 발사체의 궤적 등으로 추정되는 빛과 연기가 전국 각지에서 목격되면서 오후 6시 10분쯤부터 경찰·소방 등엔 "하늘에 연기가 있다", "조명탄이 있다" 등의 신고 전화가 잇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