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고졸·전문학사 16만, 학사 71만, 석·박사 13만명 등장상윤 차관 "전 사회 분야에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 갖추도록 지원"
  • ▲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연합뉴스
    ▲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전 국민의 디지털 교육 기회를 늘려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모두 100만명의 디지털 초·중·고급 인재를 육성한다. 교육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이같은 내용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22일 발표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2022~2026) 디지털 분야에는 약 73만8000명의 인재가 필요할 전망이다.

    2021년 정부 재정사업 기준으로 디지털 인재는 약 9만9000명, 앞으로 5년간 약 49만5000명의 인재를 키워낼 수 있지만 지금의 공급체제가 유지된다면 향후 인력난이 심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초급(고졸·전문학사) 16만명, 중급(학사) 71만명, 고급(석·박사) 13만명 등 총 100만명의 인재양성을 목표로 잡았다.

    교육부는 우선 대학의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과 마찬가지로 교원확보율만 충족하면 AI(인공지능), SW(소프트웨어), 빅데이터 등 첨단분야 학과 신·증설 시 정원 증가를 허용한다.

    4단계 두뇌한국21(BK21) 사업을 통해 연구인력을 육성하고, AI·메타버스·사이버보안·빅데이터 등 디지털분야 대학원도 늘린다.

    또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기존 79개에서 100개로 확대하고,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사업도 2027년까지 일반대 16개교 이상(현재 8개), 전문대 14개교 이상(현재 7개)으로 늘리고 석·박사과정도 도입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디지털 선도대학을 육성해 수도권-지방 (전문) 대학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첨단분야 연구·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개발·공유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의 지원대상·분야를 확대한다.

    대학 디지털 교육 혁신 및 소프트웨어 전공자 확충을 위해 전문대 트랙 신설 등 'SW 중심대학'을 2022년 44개교에서 2027년 100개교 목표로 확대해 나간다.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SW·AI 특화 교육과정을 올해부터 시범운영하고, 영재학급도 확대한다.

    디지털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를 2023년에는 14개교로 늘리고, 직업계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도 신설한다.

    장상윤 차관 "관계부처와 행·재정적 지원 지속할 것"

    정부는 자신의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대학과 민간의 집중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도 내년에 도입한다.

    첨단분야 취업을 원하는 대학생이 1학년에는 진로탐색, 2~3학년에는 연계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거치고 4학년에 부트캠프 과정을 수료한 뒤 취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지역별 우수 전문대학을 직업전환교육기관으로 지정해 운영하고 재직자와 은퇴자에 대한 디지털 역량 강화훈련도 확대한다.

    또 병사의 자기 계발과 전역 후 취·창업을 돕기 위한 디지털 온라인 교육도 제공한다.

    교육부는 이와 별도로 디지털 교육의 저변도 확대해 초등학교 정보선택과목 도입, 중·고교 개설과목 확대, 초·중학교 코딩교육 필수화를 통해 정보교육 수업시수도 늘린다.

    2025학년도부터 적용되는 2022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초등학교는 정보수업을 34시간 이상(현행 17시간), 중학교는 68시간 이상(현행 34시간) 편성하게 된다.

    또 재직자와 퇴직자 등 민간전문가를 대학 교수로 활용하기 위한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과 사업·연구를 총괄 지원하는 전문기관도 지정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전 사회 분야에서 활약할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