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도곡동A → 06년 도곡동B → 07년 도곡동C → 08년 안산 → 09년 도곡동C → 2010년 다른 안산
  • ▲ 전해철 행정안전부장관 후보자. ⓒ뉴데일리 DB
    ▲ 전해철 행정안전부장관 후보자. ⓒ뉴데일리 DB
    문재인정부가 '투기세력과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전해철 행정안전부장관후보자가 노무현정부 때 분양받은 강남의 아파트를 문재인정부 때 매도해 15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야당에서는 "사실상 갭투자"라는 지적이 나왔다.

    본인 실거주 없이 15년 보유, 위장전입 의혹도

    10일 국민의힘이 인사청문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 후보자는 노무현정부 당시인 2003년 서울 강남구 도곡렉슬아파트(전용면적 119.89㎡·36평·A아파트) 분양권을 6억9000만원에 매입했다. 이후 문재인정부 때인 2018년 A아파트를 약 22억원에 매각해 15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거뒀다.

    그러나 전 후보자는 기록상 한 번도 A아파트에 실거주한 적이 없다. 다만 전 후보자 가족 중 아들만 기록상에 2012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1년6개월간 거주한 적이 있을 뿐이다. 

    전 후보자는 2006년 A아파트가 완공됐을 당시 입주하지 않고 보증금 5억4000만원에 전세를 주고, 자신은 같은 해 2월 같은 도곡렉슬단지 내 더 넓은 아파트(B아파트)에 전세를 얻어 입주했다. 이듬해 11월에는 같은 아파트단지 내 C아파트로 이사했다. 

    이후 전 후보자는 2008년 1월 지역구인 경기도 안산의 아파트로 전입한 뒤, 2009년 3월에는 다시 C아파트로, 2010년 3월에는 다시 안산으로 넘어가는 등 수차례 주소를 이전해 국민의힘 측은 위장전입을 의심한다.

    3년 전 전해철 "부동산 투기 목적 위장전입 해서는 안 돼"

    문제는 전 후보자가 A아파트의 분양권을 취득한 2003년에는 대통령 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비상임위원이었고, 2004년과 2006년에는 각각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관과 민정수석비서관으로 근무했다는 점이다.

    당시 전 후보자의 아파트가 있었던 서울 강남구를 포함해 서초구와 송파구 등 7개 지역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자 이 지역을 '버블세븐'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전 후보자가 시세차익을 거둔 A아파트는 전세를 주고, 자신은 다른 곳에 거주한 것이 드러나면서 사실상 갭투자를 목적으로 아파트를 샀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전 후보자는 과거 강경화 당시 외교부장관후보자의 위장전입 논란 때 '부동산 투기를 위한 위장전입이면 굉장히 사회적 비난 가능성도 높고 실제로 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며 "전 후보자도 갭투자 등 투기적 목적이 아닌지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해철 측 "1주택 유지, 15년간 장기 보유… 갭투자 아니다" 반박

    그러나 전 후보자 측은 갭투자 의혹과 위장전입 의혹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전 후보자 인사청문회준비단은 이날 설명자료에서 "후보자는 2006년 도곡렉슬아파트 입주 당시 어머니를 모시게 됐고, 사춘기 남매에게도 독립된 방이 필요해 동일 아파트 내에서 조금 더 큰 평수의 아파트로 전세로 거주하게 된 것"이라며 "2012년 1월에 해당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상황이 돼 장남이 2013년 6월까지 실거주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갭투자는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1가구 2주택 이상을 보유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후보자와 가족은 2006년 이후 10년 이상 1가구 1주택을 유지하고, 2003년부터 2018년까지 15년간 장기보유했음을 감안할 때 시세차익을 노린 갭투자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또 수차례 주소지가 변경돼 위장전입 의혹을 받는 것과 관련해서는 "안산에서 국회의원선거를 준비하고 낙선하는 과정에서 거주지를 옮긴 데 따른 것"이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