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김성 유엔 北대사 식량난 호소 후 文대통령까지 미국 설득나서
  • ▲ 국제기구들이
    ▲ 국제기구들이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발표를 내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대북식량지원이 필요하다며 미국을 설득하고 있다. 사진은 2017년 6월 가뭄을 극복하자는 북한 선전 기사.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정부에 이어 국제기구들도 대북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그러나 미국이 제재 예외를 인정하지 않는 한 한국의 대북 식량지원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해야 지원할 수 있다"는 견해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2일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방북소식을 전했다. WFP는 지난 2월 김성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대사가 식량난을 호소하며 국제기구에 긴급원조를 요청한 데 따라 4월 북한을 찾아 식량상황을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WFP는 또한 북한 취약계층 상태, 식량지원 시 모니터링 방법 등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였다.

    미국의 소리 방송은 WFP의 조사 결과가 조만간 발표될 것이라면서 북한의 지난해 식량 생산량은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국제적십자사연맹(IFRC)도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2018년 북한 식량 생산량은 495만t에 불과하며, 인구의 41%가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면서 북한 적십자사가 IFRC 측에 ‘재난구호기금’ 요청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은 “앞서 유엔은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한 수준으로, 주민 380만 명에 대한 인도적 대북지원을 위해 1억2000만 달러(약 1400억원)가 필요하다고 호소한 바 있으며, WFP도 북한주민의 40%가 영양결핍 상태에 있다며 미국 등 서방국가들에 대북 식량지원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북한 식량난은 몇 년째 이어지는 가뭄, 불규칙한 날씨, 작물 성장에 필요한 토양의 수분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국제기구의 경고 때문인지, 김성 북한 대사의 요청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문재인 정부는 최근 미국 측에 대북 식량지원의 필요성을 적극 설득했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월 미국을 찾았을 때도 대북 식량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태도를 바꿔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며 난색을 표했지만 한국정부는 포기하지 않은 듯하다.

    오는 8일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의 방한을 두고 일부 언론은 그가 대북 식량지원과 개성공단 재개에 대해 문재인 정부와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외교부는 2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정과 논의할 의제에 대해 현재 협의 중”이며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밝혔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한미 양국 간 대북정책에 관해서는 다양한 현안에 대해 폭넓게 논의를 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예정”이라며 대북 식량지원을 논의할 것이라는 일부 보도를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