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지지부진에 "군산 포함 원하는 데 많다"… 노동계 일방적 전횡 겨냥 '경고장'
  • ▲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 ⓒ뉴데일리 정상윤 기자

    상생 일자리 창출 모델로 주목받은 '광주형 일자리'가 난항을 겪고 있자 더불어민주당에서 이 모델 적용지를 광주가 아닌 다른 지역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22일 국회에서 열린 당 정책조정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광주에서 (맞춤형 일자리에 대한) 합의가 안 되면 다른 곳, 원하는 데서 해야 할 것"이라며 "군산에서도 원한다. 원하는 데가 많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 민주당 이원욱 의원은 "광주형 일자리는 애초 기업하기 좋고 일하기 좋은 사회 구현이 핵심 내용이었으나 최근 진행을 보면 '기업'은 빠져있고 '노동'만 부각된 것 같아 우려된다"면서 "특히 지난 13일 광주시와 노동조합이 낸 합의문에 보면 기업은 완전히 배제돼 있다. 그렇게 하면 광주형 일자리는 성공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그는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과 노동자가 '윈윈'하자는 건데 기업을 배제하고 작성된 합의문을 가지고 논의 테이블에 기업 보고 일방적으로 나오라는 것은 협박으로밖에 안 보인다. 계속 합의점을 못 찾으면 군산 등 제3의 대안도 모색할 때가 됐다"고 했다.

    이해찬 표 '공든 탑' 무너지나

    광주형 일자리는 부지와 공장 설비를 합쳐 고정자산은 5,000억원 이상, 정규직 근로자는 신입 생산직과 경력 관리직을 합쳐 1,000여명, 간접고용까지 더하면 1만∼1만2,000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현대자동차 합작법인 투자를 통한 광주형 일자리는 민주당이 "사회 통합의 선도적 모델"이라며 공을 들이고 있다. 호남 민심을 얻기 위한 행보라는 분석이다.

    이해찬 대표는 "광주형 일자리가 우리 사회의 새로운 출발점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광주시 투자 협상단과 현대차, 노동계 간에 적정임금과 근로시간 등에 대한 견해차가 커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다. '지엠(GM) 사태'를 겪은 군산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이날 제기되며 파행 위기에 놓인 것이다.
      
    13일 한국노총만 참여한 광주시-노동계 합의문엔 당초 현대차가 주장한 주 44시간 노동시간이 40시간으로 축소됐고, 최소 5년간 임금단체 협상 유예 조항도 삭제됐다. 

    광주형 일자리 관련 예산 지원을 위해선 국회의 예산안 처리 기한인 내달 2일까지는 광주시와 노사 간의 협상이 마무리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