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아시아프레스’ “韓 600만 달러 지원하는 北 ‘인구조사’가 주민들 통제 강화 역할”
  • ▲ 북한의 검문소 모습. 북한 주민에게는 이동·주거의 자유가 없다. ⓒ북한전문매체 '뉴포커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 북한의 검문소 모습. 북한 주민에게는 이동·주거의 자유가 없다. ⓒ북한전문매체 '뉴포커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북한이 서해 미사일 시험장 해체 작업에 속도를 내는 등 ‘비핵화 약속’을 지키면서 한국, 미국과의 대화 분위기를 이어가는 듯 보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주민 통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일본의 북한전문매체 ‘아시아프레스’는 지난 7일 “북한 당국이 최근 여성들의 속옷까지 벗겨가며 몸수색을 하는 등 주민들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북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日‘아시아프레스’와 접촉한 북한 양강도 소식통은 장사를 위해 한약 재료를 사러 농촌에 가는 동안 사회안전원(한국의 경찰에 해당)에게 번번이 검문을 받았다고 한다. 소식통은 “짐뿐만 아니라 자동차 좌석까지 들어내 검색했다”면서 “사회보안원이 아는 농가를 덮쳐 ‘숙박등록을 안 했다’며 끌고 가 약초 30킬로그램을 빼앗았다”고 전했다.

    보위성 ‘10호 초소’ 여자 속옷까지 벗기며 검문

    함경북도 소식통은 “이들보다 국가보위성의 ‘10호 초소’ 검색이 더욱 살벌했다”고 전했다고 한다. 국가보위성은 북한 주요 도로마다 ‘10호 초소’를 설치하고 모든 사람을 검문한다. 소식통은 “이 ‘10호 초소’에 금속 탐지기가 도입됐는데 짐과 몸에 대서 삐 소리가 나면 모두 보여줘야 한다”고 전했다.

    ‘10호 초소’에서 알몸 수색을 당하는 데는 남녀 구분이 없다고 한다. 여성이라도 속옷 안까지 체크하는 게 현실이라는 설명이었다. 국가보위성 측은 이런 검색을 통해 중국에서 들어온 USB와 메모리 카드, 중국 휴대전화, 각성제 등을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 당국의 주민 통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日‘아시아프레스’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최근 ‘인구조사’를 명목으로 전 주민들의 동태를 조사하고 있다고 한다. ‘인구조사’를 한다면서 사회보안원(한국의 경찰에 해당)이 인민반 반장과 함께 각 가정을 찾아 ‘주민등록 대장’과 일일이 대조하고 있다고 한다. 단순한 ‘인구조사’가 사실상 주민들의 감시활동이 된 셈이다.
  • ▲ 북한 공민증 뒷면. ⓒ北전문매체 '뉴포커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 북한 공민증 뒷면. ⓒ北전문매체 '뉴포커스' 관련보도 화면캡쳐.
    북한 주민들이 당국의 ‘인구조사’에 긴장하는 이유는 탈북한 가족 여부 때문이다. 가족 가운데 한국에 정착한 탈북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이 사실을 들킬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는 설명이었다. 또한 노동당 간부 등에게 뇌물을 주고 당국 몰래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거나 취업을 한 사람도 이런 사실이 들킬까 우려하고 있다고 한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당국은 ‘인구조사’와 함께 ‘공민증(한국 주민등록증에 해당)’에 쓸 사진촬영도 병행하고 있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김정은이 집권하기 직전인 2011년 새로운 ‘공민증’을 만들어 배포했는데 그 후로도 탈북하거나 행방불명된 사람, 거주지를 떠난 사람이 많아 이를 다시 제작 중이라고 한다.

    北주민들 “인구조사 때 탈북자 가족 걸릴까 전전긍긍”

    북한소식통은 “2017년 말부터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사진 촬영을 시작했고 2018년 5월에 새 공민증을 교부한다고 했다”며 “그런데 작업이 늦어져 8월 중에 끝낸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북한 당국의 이 같은 주민 통제는 사실 '인도적 대북지원' 명목으로 주는 돈으로 이뤄진다고 한다.

    日‘아시아프레스’는 “북한 당국이 실시 중인 ‘인구조사’가 국제사회와도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2017년 7월 한국 정부가 유엔인구기금을 통해 북한을 지원하기로 한 600만 달러(한화 약 67억 1,500만 원)가 바로 이 ‘인구조사’에 사용될 예정이라고 한다. 즉 한국이 유엔 기구와 함께 북한에 주겠다고 한 돈이 김정은 정권의 주민 감시·통제용으로 사용된다는 뜻이다.

    日‘아시아프레스’의 보도와 관련해 한국 정부의 공식 반응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